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d라이브러리
"
화학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부르는 반면 지방산처럼 물에 잘 녹지 않는 분자는 소수성이라 부른다. 그런데
화학
자들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을 동시에 갖고 있는 고분자를 만들 수 있다. 이들을 물에 녹이면 수십-수백개가 서로 모여 지름이 5-1백nm인 공같이 생긴 나노입자를 만드는데 이를 미셀(micelle)이라 부른다. 이때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사용되고 있다. 이밖에 수돗물은 물론 찬물이나 바닷물에서도 잘 작용하는 세제나 정밀
화학
공정에 사용되는 세정제, 햄 소시지와 같은 식품가공에 이용할 수도 있다.최근 대량생산에 성공한 아라자임은 국내는 물론 미국, 일본, 중국, 브라질 등 해외시장에서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현재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보여주고 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찍어서 포토샵으로 색을 입혔다.황철광을 생성하는
화학
반응은 해양퇴적층에 산소가 부족할 때 일어난다. 때문에 이 사진은 플랑크톤의 잔해가 수천년 전 매장됐을 당시 흑해의 바닥에는 생명이 살지 못했던 것을 암시하고 있다.일러스트레이션부문 2등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배열시켜 효율이 높은 나노전선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줬다. 김교수팀의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의 전문 해설 논문지인 ‘ACS’ 2004년 10월호의 표지를 장식하는 등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을 받고 있다.생체분자의 자기조립을 이용해 나노소재를 만드는 연구 분야는 이제 막 시작단계다. 그러나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발목에 의한 전후운동과 무릎에 의해 조절되는 상하운동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론지었다.
화학
상은 영국의 코카콜라 제조회사가 받았다. 영국 템스 강물을 ‘미 항공우주국(NASA) 기술’ 을 동원해 완벽하게 정화시켰다며 생수 ‘다사니’ 를 출시한 회사다. 하지만 이 생수가 수돗물을 정수한 것이며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실제 축구공과 똑같이 생긴 나노탄소축구공인 C60, 즉 풀러렌을 발견한 공로로 1996년 노벨
화학
상을 수상한 리차드 스몰리 교수의 말을 인용하고자 한다. “만약 한 과학자가 어떤 일에 대해서 가능한 일이라고 말한다면 그는 아마도 그 일을 가능하게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부딪쳤다. 그러다 물리학과 열역학에 재미를 붙여 그야말로 원없이 공부했다.서울대
화학
과로 진학했지만 대학시절 내내 손에서 물리책을 놓지 않았다. 물리시험에서 물리학과 학생들보다 오히려 더 좋은 성적을 받기도 했다. 물리학,
화학
, 재료과학을 넘나드는 표면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로서의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연료전지보통 여러개의 연료전지가 겹겹이 쌓여있는 모습이다. (+)극과 (-)극 사이에 수소이온이 통과하는 전해질막(PEM)이 있다.최근 주목받는 원자력수소제조법원자력 ...
화학
을 공부하고 89년 하이델베르크대학 연구소 소장대리, 90년 프라이부르크 대학
화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19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전기분해를 역이용하면 천연가스와 메탄올 등에서 얻어낸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화학
에너지를 바로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전기 이외에 생산되는 것은 물과 열밖에 없다. 연료전지는 배기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전혀 생산해 내지 않는 무공해 에너지인 것이다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미켈 박사와 요한 다이젠호퍼 박사는 세포막 단백질의 구조를 밝힌 공로로 1988년노벨
화학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000년 세포내소기관인 리보솜의 복잡한 구조를 밝혀낸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아다 요나드 박사와 미 예일대 톰 스타이츠 박사 연구팀도 향후 노벨상을 기대할 만하다고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