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세계"(으)로 총 4,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자는 반드시 죽는다는 통념이 깨지고 있다. 10년 이상 바이러스와 더불어 동거동락하고 있는 이른바 장기생존자들에 의해서…미국 농구 스타매직존슨(Magic Johnson)이 한국을 방문해 국내 농구팀과 시범경기를 가졌다. 이 시합을 지켜 본 관중들은 이미 전성기가 지난 미국 선수 ... ...
- 북미산 검둥오리, 깃털 화려한 새끼 편애한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동물의 세계에도 자식 편애가 있을까? 그럴 리 없다고 여겨졌던 고정관념을 뒤엎는 연구결과가 동물행동학자들에 의해 나왔는데…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에는 차별이 없다고 한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이 어디 있겠냐는 말도 그런 의미일 것이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관 ... ...
- 2. 4대 제품성능 철저비료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윈도우 95-도스 필요없는 32비트 운영체제8비트와 16비트의 중간격이라 할 수 있는 IBM XT기종이 처음 선보인 이후 10년이 조금 못되는 시간 동안 하드웨어는 그야말로 '눈부시게' 발전해 왔다. 엄청나게 빠른 CPU와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가속 비디오카드 등은 변화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된다. 이 보다는 ... ...
- '하나로' 본격 가동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국내 기술진이 독자적으로 설계한 연구용원자로 '하나로'가 본격 가동된다. 9백30억원을 들여 9년만에 완공한 하나로는 원전기술 자립, 기초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북한 경수로 지원 문제가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요즘, 국내 원자력계는 조그만 경사를 맞았다. 국내 기술진이 설계, 9년 공 ... ...
- 1 안방 앉아서 네트워크 통해 원격수업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세계의 선진각국은 지금 첨단을 자랑하는 문명이기 컴퓨터를 이용해 빈사 상태에 빠진 교육을 살리는 데 온 힘을 쏟아붓고 있다. 이들 국가들의 이러한 움직임은 한 나라의 경쟁력이 어디에서 출발하는지, 그리고 이를 위해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심사숙고한 끝에 내린 결론이다.20세기 인간이 ... ...
- 1 유전자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과학동아 l1995년 04호
- 휴먼 게놈프로젝트는 21세기 인류의 삶을 바꿔놓을 것인가. 출범후 5년이 지난 휴먼게놈프로젝트란 무엇이며 어떤 과정을 밟고 있는지, 이 프로젝트 완성이 낳을 미래사회는 어떤 것일지 살펴보자.20세기 인류최대의 프로젝트인 인체게놈연구가 범세계적으로 착수된 지 벌써 5년이 지났다. 그동안 ... ...
- 4 30억 염기 서열 컴퓨터 정보처리과학동아 l1995년 04호
- 휴먼게놈프로젝트를 수행해나가는 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컴퓨터. 전산기술의 발달이 없었다면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는 나올 수 없었다. 프로젝트를 밀어주는 생물정보학의 오늘을 살펴보자.'약 30억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인체 게놈의 DNA 배열을 전부 결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 ...
- 인간진화, 성공의 드라마과학동아 l1995년 04호
- 파충류 포유류 등으로 머물 수도 있었던 인간이 진화에 성공한 드라마는 어떻게 가능했을까. 필자는 우선 동물 생존의 핵심이 '이동'과'조작'임을 주목하는 데서 출발한다. 파충류는 이동과 조작이 미분화된 상태이며 포유류는 이동에 성공했다. 포유류가 이동에만 골몰하고 있을 때 조작의 기능성 ...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죽은 사람이나 산 사람의 장기나 조직을 재활용하는 기술이 급진보함에 따라 뼈에서 소변에 이르기까지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더구나 연내에 뇌사를 인정하는 법이 제정되면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최근 보건복지부는 뇌사(腦死)도 심장사(心臓死)와 함께 인간 죽음의 기준으 ...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정사각형의 넓이가 하나의 곡선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선분은 폭이 없는 것'이므로 그것이 아무리 모아져도 넓이를 갖는 평면은 만들 수 없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나 1890년 이탈리아의 페아노는 '점의 궤적'으로 평면을 그릴 수 있음을 증명했다.19세기 말 칸토 ... ...
이전3153163173183193203213223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