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업적을 인정받아서 1950년 프랑스인으로는 처음 필즈상을 받았다. 프랑스는 슈와르츠 이후로 전체 필즈상 수상자 중에 단일국가로는 가장 많은 13명을 배출하며, 넘볼 수 없는 수학 강국으로 부상했다. 식민지 국가 독립을 외치다유태인인 슈와르츠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생명의 위협을 받았다. 당시 ... ...
- [과학뉴스] 11.4cm 장수하늘소 표본 보러 오세요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타이탄하늘소, 국내에서 멸종한 주홍길앞잡이 등 다른 희귀 표본도 기증했다.표본은 이후 ‘장수하늘소 및 희귀 곤충 특별전’을 통해 천연기념물센터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사는 저 높은 하늘은 완벽하게 아름다우며 영원한 세상인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이후 기독교의 영향으로 사람들 사이에는 천상의 영원한 원운동은 천사가 천체를 끊임없이 밀고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널리 퍼졌다.천 년 넘게 절대적 권위를 누렸던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에 첫 번째 커다란 ...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코도 짧았다. 코 끼리류는 호주와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 든 대륙에서 살았다. 이후 아프리카매머 드가 등장했다. 약 450만~180만 년 전에 살았는데, 털이 별로 없고 머리에는 혹 처럼 생긴 구조와 나선형으로 휜 상아가 나 있었다. 250만~75만 년 전에는 남반 구매머드(Mammuthus meridionalis ) 가 나타났다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넣은 물을 번갈아 투입한다. 그러면 산화막이 녹으면서 방사성코발트가 95%~98% 제거된다. 이후 분사연마․전해연마․화학침수제염․레이저제염 등 복잡한 작업을 거쳐 방사능을 완전히 없애면 파이프라인을 재활용할 수 있다.제염액에서 오염물을 거르는 여과물질도 방사성폐기물이 된다. 원전을 ... ...
- [Hot Issue] Eaten Alive! 산 채로 아나콘다에 먹히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 마지막으로 기억나는 게 아나콘다 입이 크게 벌어지며 눈앞으로 다가오는 장면이다. 이후는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아나콘다와 처음 만났을 때는 레슬링을 하듯 아나콘다가 조이는 힘에 저항하기도 했다. 하지만 갈수록 버틸 수가 없었다. 막판엔 그냥 축 처진 상태로 기다리면서 머릿속으로만 ...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존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 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현생인류는 이후 10만 년 전쯤에 이스라엘을 비롯한 근동 지방까지 진출하고, 7만~6만 년 전후에 동아시아로 확산됐다. 현생인류는 워낙 적응력이 뛰어나 다른 고인류들이 모두 절멸한 뒤 오늘날 지구의 유일한 인류 종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랑은 처음 사랑이 시작될 때부터 짧게는 6개월, 길게는 2년을 넘기지 못합니다. 이후에는 애착단계로 넘어가서 사랑은 미지근해지고 연인은 동지가 됩니다.과연 사랑에 빠진 사람들의 뇌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고민에 빠져 있던 저에게 손을 내민 것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이었습니다. 2005년 ...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대중 사이로 퍼져나갔다. 사람들은 이를 나무 액자에 새겨 종교적인 목적으로 봉헌했다. 이후 교토에서 찾아 낸 산가쿠의 설명문에 따르면,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 신에 대한 감사와 ‘풀 수 있으면 풀어 보라’라는 자신들의 능력 과시가 봉헌의 목적이었다. 또 현대에 만들어 봉헌한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있었다. 즉 250만~100만 년 전에는 약 4만1000년마다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됐고 그 이후로는 10만 년마다 반복됐다. 원인은 지구 공전궤도 타원 모양의 변화(이심률의 변화), 자전축의 기울기, 그리고 자전축 및 공전궤도의 세차운동 때문이다. 이처럼 최근 수백만 년 동안의 기후는 지구 외적인 ... ...
이전3153163173183193203213223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