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문
읍
도시
미문
가집
한시
타임
d라이브러리
"
시
"(으)로 총 4,773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지능형마이크로
시
스템 개발사업단장 박종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가능한 제품은 가스관 균열검사 마이크로로봇, 군사용야간 감
시
센서 등 총 21건, 손목
시
계형 마이크로 PDA 분야에서는 마이크로 가상 디스플레이, 휴대폰용 고출력 전지 등 총 14건이 사업화가 가능한 제품으로 계획돼 있다 ... ...
미르 남태평양서 15년 일생 마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것 같은 생각이 든다”고 서운함을 감추지 못했다고 AFP, AP통신이 전했다. 그는“만약 러
시
아가 재정이 튼튼했다면미르호를개조할수도있었을것”이라면서,“ 미르가 낡았다는 주장은 정치적 의도를 정당화하려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 ...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를 위해 국제공동연구 등 개방형 산학연 협력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과제관리
시
스템 등 과학적 방법론을 적극 도입해 활용하고, 기업 현장을 개방해 새로운 산학연 협동체계의 틀을 구축할 계획이다.사업단의 과제는 크게 4가지로 나뉜다. 각 과제의 명칭은 테라급 나노일렉트로닉스(1천배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않으면 무섭게 화를 낸다. “자신이 언제까지 실험을 한다고 했으면 하루 24
시
간을 48
시
간으로 늘려 사용하던 밤을 새던 지키라고 해요. 그것이 결국 자신의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죠.” 물론 힘들고 어렵다는 것을 안다고 덧붙인다. 정기준박사는 “다른 실험실에 비해 일이 많지만 ... ...
대학입
시
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현상을 다루고 있다생각해볼문제∙ 왜 얼음은 물의 가장 아래쪽이 아니라 위쪽에서 얼기
시
작하는지 설명하라.∙ 대륙성∙해양성 기후의 차이는 무엇 때문에 나타나는 것인지 설명하라.∙ 낮에 해풍이 불고 밤에 육풍이 분다. 왜 그러한가?∙ 일교차가 큰 사막에서 선인장이 물을 많이 포함하고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울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인간의 몸값을 천냥이라고 한다면 9백냥을 차지한다는 눈. 특히 눈에서 흘러나오는 눈물은 인간의 수많은 감정을 대변하는 또하나의 언어로 받아들여진다. ... 긴장감에서 해방
시
켜 줄 수 있는 울음. 오늘부터는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며 참기보다는
시
원스런 눈물을 한번 흘려보면 어떨까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2월 12일 새벽 3
시
1분 52초(미동부
시
간) 자동차만한 탐사선이 울릉도 크기의 소행성 표면에 안착했다. 역사상 최초로 소행성에 착륙한 것이다. 주인공은 미국의 소행성탐사선 니어-슈메이커. 니어-슈메이커가 안긴 소행성은 사랑의 신을 뜻하는 에로스였다.사실 니어-슈메이커는 착륙용으로 설계된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날씨가 좋다면 매일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달. 흔히 보이기 때문에 관측하는데 소홀하기 쉽지만 맨눈이 아닌 쌍안경으로 본다면 흥미진진한 세계가 펼쳐진다. 지구의 ... 산맥을 자를듯이 어두운 줄기 모양으로 걸쳐 있기 때문에 상현이 돼 햇빛이 비치기
시
작하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
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셀레라를 설립했다. 인간 게놈 해독을 위해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치열한 경쟁이
시
작된 것이다.2000년 다국적팀과 셀레라가 공동으로 인간게놈지도 초안을 발표했다. 식물게놈프로젝트의 첫 대상, 바로 양배추과에 속하는 애기장대의 전체 게놈이 해독됐다.인간의 전체 게놈지도가 다국적팀과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수 있는
시
기는 춘분을 전후한 저녁 서쪽하늘, 추분을 전후한 새벽 동쪽하늘이다. 왜 이
시
기에 잘 보일까. 황도가 다른 때에는 지평선에서 비스듬히 위치하지만 이때에는 지평선에 거의 수직으로 일어서기 때문이다. 3월 저녁하늘에서 황도가 지나가는 위치는 황소자리 부근이며 우리나라에서 볼 때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