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작곡법 알고리즘은 최적해를 찾는다.바이올린을 좋아하는 진 하디스티는 미국 라이스대학교 응용수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던 2013년 최적의 바이올린 모양을 찾는 수학적 방법을 제시했다. 바이올린의 모양을 나타내는 복잡한 방정식을 쉽게 푸는 해법을 찾은 것이다. 이 해법은 악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컴퓨터가 들어 있고, 머리에는 눈에 해당하는 레이저 센서가 달려 있지요.”서울대학교 박재흥 교수님이 이끄는 다이로스 연구실에서는 사람을 닮은 로봇인 휴머노이드부터 입는 로봇, 무인자율주행 시스템, 모션 캡쳐 시스템을 이용한 동작 분석 등을 연구하고 있어요.“휴머노이드는 앞으로 ... ...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로봇, ‘점프로치(JumpRoACH)’가 있어요! 서울대학교 조규진 교수님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광필 교수님이 함께 만들었지요. 인터뷰 정광필 교수 “저는 고무 재료를 사용해 점프하는 바퀴벌레 로봇, 점프로치를 만들었어요. 고무는 금속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에너지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어요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외부 충격에 쉽게 찢어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해야 해요.최근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카넬 마지디 교수팀이 열이 잘 통하는 고무를 개발하기도 했어요. 열을 잘 가두는 고무의 성질 때문에 고무 로봇이 과열되기 쉽다는 문제를 해결한 거죠. 앞으로 곤충 로봇을 비롯해 많은 로봇에 사용될 수 있을 ... ...
- [수학뉴스] 수학만 허락한 시간여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몰라요. 수학적으로는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이에요.3월 31일 데이비드 창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교수팀은 시간여행의 이론적 근거를 중력물리학 학술지 ‘고전 및 양자중력’에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무거운 별 때문에 주위의 행성이 직선이 아닌 곡선 궤도를 따라 도는 것처럼 중력으로 우주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고약해진다.한편, 방귀 냄새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영국 엑세터대학교 연구팀은 방귀 냄새의 주원인인 황화수소가 세포 속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발표했어요.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속에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해요. 만약 ... ...
-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움직이는 게 유리한 거죠.끊임없이 물결치는 박테리아 꼬리 로봇!이스라엘 벤구리온대학교 데이빗 자럭 교수팀은 편모의 움직임을 닮은 로봇을 만들었어요. 박테리아는 꼬리에 해당하는 편모를 ‘S’자로 흔들며 부드럽게 이동한답니다. 이 로봇은 나선 모양의 중심축에 여러 개의 관절로 이루어진 ...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삼투현상’ 때문이에요. 바닷물에는 흔히 소금이라고 부르는 염화나트륨을 비롯해 여러 ‘염류’들이 포함돼 있어요. 이렇게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류들을 모두 합쳐 ‘염분’이라고 불러요. 전세계 바닷물의 평균 ... ...
- [수학뉴스] 최고의 투수가 되는 방법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공을 어떻게 던져야 정확하게 던질 수 있을까요?락쉬미나라야난 마하데반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팀은 야구와 농구, 다트처럼 던지기 동작을 하는 운동 종목의 데이터를 이용해 물체가 그리는 자취를 포물선 궤도 방정식으로 만들어 분석했어요. 방정식은 물체가 날아가는 거리와 회전 방향, 목표 ... ...
- 수학명언 책갈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평소에 보던 풍경도 높은 곳에 올라서서 보면 달라 보입니다. 키가 작아서 볼 수 없던 것이 보이고, 먼 곳에 있는 것도 한눈에 들어오니까요. 그런데 언제나 이런 풍경을 볼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발을 딛고 올라설 수 있는 언덕이 필요하고 언덕을 올라갈 수 있는 의지와 체력도 있어야 하지요. 학 ... ...
이전3153163173183193203213223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