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점"(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더위는 가라! 한여름에 즐기는 스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아~, 덥다 더워! 추운 겨울엔 뜨거운 여름이 그리웠지만 , 무더운 여름이 되니 다시 흰 눈이 펄펄 내리는 겨울이 그리워져. 이렇게 겨울을 그리워하며 더위에 땀을 뻘뻘 흘리고 있던 우리에게 ‘어린이과학동아’의 취재 요청이 왔어. 그런데 이럴 수가! 흰 눈이 가득 쌓인 스키장을 취재해 달라지 뭐 ...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이런…, 또 실패야! 아무리 다시 만들어 봐도 원하는 맛이 나오질 않아. 왜 내가 만든 요리는 다 맛이 없는 거지? 주방장님 말대로 정말 소질이 없는 건가….잠깐, 근데 이게 무슨 냄새지? 음~, 군침이 도는 걸! 나 말고 주방에 있는 사람이 또 있나? 킁킁~, 냄새를 쫒아….엥? 쥐? 쥐가 요리를 하고 있는 ...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자, 이제 스마트폰 때문에 사용자가 크게 늘어난 *SNS 얘기를 해 볼까요? 스마트폰하면 SNS를 빼놓을수 없잖아요.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 덕분에 멀리 있는 친구 소식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지요. 그런데 아시나요? SNS의 밑거름에 수학이 있다는 사실!그래프에서 시작한 네트워크페이스북, 인터넷, ...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1957년 10월 4일 옛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1호를 발사한 이래 지금까지 우주에 올라간 인공위성은 7000개 정도다. 이중 절반은 대기권에 돌입해 불타버렸고 남은 절반 중 현재 작동하는 건 1000개가 채 되지 않는다. 하릴 없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이 무려 2000대가 넘는다는 얘 ... ...
- 두 발로 기록한 새만금 7년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일주일씩, 걷고 또 걸었다. 처음 시작한 것은 초등학교 6학년 때였다. 그리고 7년. 고3이 된 올해까지 매해 여름 바다를 보고 거기 사는 사람들을 만났다. 해안선 변화를 기록하고 만난 생물종을 기록했다. 사진을 찍었다. 이야기를 들었다. 나중에는 수시로 찾아갔다. 바다와 하늘이, 자연과 사람이 ... ...
- Part 1. 패턴암호 경우의 수는 몇 개일까?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스마트폰을 처음 사면 가장 먼저 뭘 하나요? 아마 기본적인 설정을 하면서 배경화면을 잠그는 암호를정할 거예요. 제가 만든 스마트폰은 숫자 4자리로 된 암호를 씁니다. 0000부터 9999까지 암호를 만들수 있어 경우의 수는 총 1만 개지요. 생각보다 원리가 간단한가요?말했잖아요. 저는 간단한 걸 좋아 ... ...
- 태국 남 뚜엄(홍수),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태국에서 홍수가 났다. 조금 먼 얘기지만 우리 생활에 큰 영향을 끼쳤다. 10월말 갑자기 하드디스크 값이 두 배 이상 올랐고 덩달아 컴퓨터 가격도 올라갔다. 원인은 태국에 큰 홍수가 나 하드디스크 공장이 잠겼기 때문이다. 멀리 동남아시아의 일이지만 우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런 홍수를 수 ...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로마의 여름은 햇빛 하나만으로도 모든 것을 압도한다. 아침부터 돌로 만든 도로가 훅 달아올라 피부깊숙한 곳까지 파고들 것 같지만, 유난히 반가운 날도 있기 마련이다. 테르미니 역 근처에서 햇빛이 만드는 달력을 볼 수 있는 행운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로마 고대의 달력, 파스티성당의 달 ... ...
-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최대 서너 시간은 줄을 서서 기다려야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있어요. 열린 지 불과 2주 만에 1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다녀갔지요. 대체 무슨 전시회기에 이렇게 인기가 높은 걸까요? 바로 지난 10월 신윤복의 미인도를 비롯해 김홍도 등의 작품을 공개한 간송미술관의 풍속인물화대전이에요. 그런데 ... ...
- 선행학습보단 창의력!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대학원 수준의 수학 문제를 푸는 데 선행학습이 필요할까.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이하 영재원)에서는‘아니다’라고 말한다. 창의성, 집중력, 이해력만 있다면 기초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한다.이를 가능하게 한 연세대 영재원의 비법을 알아보자중학생이 미국 수학회 잡지에 연구 게재중학 ... ...
이전3153163173183193203213223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