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 하나하나에 정보 담는 신개념 메모리 '저장용량 1000배로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다른 연구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 결과를 내며 실마리가 풀렸다. 권대웅 인하대
전기
공학과 교수와 사이이프 살라후딘 미국 버클리대 전자공학 및 컴퓨터과학부 교수팀은 지난 4월 산화하프늄 두께를 1nm까지 줄여도 강유전체 성질을 갖는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 ...
KCC·포스텍, 공장 폐열 활용해
전기
생산하는'열전발전' 첫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기술이다. 폐열을 회수해
전기
를 생산할 수 있고 태양열이나 지열, 도심 열원 등에서
전기
를 얻는 용도로도 주목받고 있다. 백 교수팀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열전소자를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지난해 개발한 바 있다. KCC 김천공장은 그라스울과 미네랄울, 세라크울 등 무기단열제를 주로 ... ...
가락시장 '스마트 마켓' 청사진 나온다…AI·빅데이터 등 도입
연합뉴스
l
2020.06.30
방침이다. 쓰레기가 쌓이면 센서가 자동으로 폐기물 수거를 요청하고, 건물·상하수도·
전기
·보안·방범 등을 포함하는 지능화된 사물인터넷(IoT) 시설 관리 시스템도 도입하기로 했다. 쾌적한 환경과 다양한 볼거리로 가락시장을 관광 명소로 추진하는 방안도 이번 청사진에 들어간다. 김경호 ... ...
초저전력 전자소자 구현 길 열리나…‘스핀’ 난제 60년만에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제공. 전자소자는 전자의 두가지 특성인 전하와 스핀 중 스핀을 고려하지 않고 전하만을
전기
장으로 제어한다. 전하 기반의 전자 소자로 만들어진 반도체는 메모리 저장 한계, 소형화에 따른 발열 문제 등 물리적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기존 반도체 소자의 한계를 극복하고 ... ...
코로나19 발열 확인에 얼굴인식 AI가 결합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얼굴 인식을 넘어 추적 기능까지 갖춘 기술이 등장했다. 전문구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
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이 폐쇄회로(CC)TV 카메라와 열화상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해 얼굴 인식은 물론 개인 식별까지 가능한 AI 발열 확인 시스템을 개발했다. 얼굴 부위에 이상 고온이 발생하면 경고가 나온다. ... ...
실시간 수화 번역 기술 나왔다…무선 장갑끼고 수화하면 앱이 읽어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센서를 집어넣었다. 이 센서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움직임을 읽는다. 읽은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환돼 손목에 설치된 회로 기판으로 전송된다. 회로 기판의 크기가 크지 않아 손 움직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회로 기판은 무선으로 휴대전화 앱에 신호를 전송하고, ... ...
살아있는 세포 손상 없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성공
연합뉴스
l
2020.06.29
분자 단위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높은 강도와
전기
전도성을 가지면서도 물질을 투과시키지 않는 그래핀의 성질을 이용, 세포를 액체와 함께 감싸는 방법으로 손상을 막았다. 육 교수는 "세포보다도 작은 단백질이나 DNA를 실시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는 ... ...
"KAIST 교수·대학원생들과 함께 온종일 AI 코딩 세계에 빠져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0.06.28
소감을 밝혔다. ‘1day 코딩 실습’에 참가한 노완섭 군(왼쪽 단상)이 김정호 KAIST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오른쪽) 앞에서 미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대전=서동준 기자 bios@donga.com ... ...
백웅기 UNIST 교수 美 컴퓨터학회서 논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6.28
UNIST
전기
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백웅기
전기
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올해 ‘가장 영향력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 및 구현 분야 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상은 미국 컴퓨터학회(ACM) 프로그래밍 언어분과에서 시상한다. 10년 전 발표된 논문을 ... ...
감전 사고로 눈에 별이 생겼다
팝뉴스
l
2020.06.27
끌었다. 그런데 사진은 낙뢰 사고가 아니라 감전 사고의 결과를 보여준다. 미국의 한
전기
공 왼쪽 어깨를 타고 고전압 전류가 몸으로 흘러들어갔고 눈에 별 모양의 상흔이 남게 되었다. 사진은 수년전 영국의 한 의학 저널에 소개된 것이다. 사고를 당한 남자는 시력이 많이 나빠졌다고 한다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