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볼 수 있는 상공, 즉 비행기를 타고 갈 경우에나 도넛형의 무지개를 볼 수 있다. 물론
태양
빛은 관찰자의 뒤에서 비춰오고 전면에는 물방울이 많아야 한다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데 4만1천J의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1/180몰에는 약 2백30J의 기화열이 필요하다. 1분 당 8J의
태양
에너지가 도달한다면 이 물이 다 증발하는 데는 약 30분이 걸린다. 실제로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30분(1천8백초)에 1mm의 물 층이 기화한다면 1초에 약 5천6백 옹스트롬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디오니소스를 돌본 공로로 하늘로 올라가 별이 되었다고 한다. 약 1백30광년 떨어져 있는
태양
에서 가장 가까운 산개성단이다. 성단 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별은 V자 끝에 있는 붉은 색을 띤 1등성 알데바란이다. 하지만 이 별은 히아데스 성단의 가족이 아니고 지구에서 볼 때 같은 방향에 있을 뿐 ... ...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있으며 공전 방향도 반대라고 밝혔다. 이 행성은
태양
계 외곽을 지나던 떠돌이 별이
태양
의 중력에 포획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그러나 많은 천문학자들은 아직 회의적이다. “단지 두 그룹에서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고 해서 이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증명하지는 않는다.” 하버드-스미소니안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상당 부분이 외계로 반사된다. 특히 사막 위의 공기는 그 높은 온도 때문에 그가 흡수한
태양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장파 복사로써 외계로 방출한다. 즉 사막 위의 공기는 복사로 에너지를 잃고 있는 것이다. 이 때 복사 냉각으로 기온이 내려가고 공기는 하강한다. 사막은 뜨거우므로 상승 ... ...
기후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번개를 만들어 사람들을 놀래기도 한다. 그러다 무지개를 만들어 사람들을 유혹한다.
태양
빛은 지구의 어느 부분은 열대로 어느 부분은 한대로 만들었다. 그러면서 사람들의 체형과 생활방식, 그리고 기질도 변화시켰다. 이제 기후를 과학의 눈으로 봐야 할 시간이다. 세상이 다르게 보일 것이다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기상현상의 원인을 한마디로 하면 지역과 시간에 따라
태양
으로부터 받는 일사량의 차이다.100% 예측은 불가능경험적으로 볼 때 여름에는 햇빛이 강하고 일조시간도 길며 겨울에는 반대로 햇빛도 약하며 일조시간도 짧다. 또 적도지역으로 갈수록 여름철과 같이 강한 ... ...
2000년은 21세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불과하게 된다.그러나 사실 1세기는 1년부터 1백년까지다. 왜냐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태양
력의 기산점이 0년 1월 1일이 아니라 서기 1년 1월 1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2세기는 101년부터 200년까지,… 20세기는 1901년부터 2000년까지 돼야 정확하다.천년(밀레니엄, millennium)도 서수의 개념이다. 그래서 ... ...
국내 신약 1호 항암제 선플라 개발 주역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백금의 영어명(platinum)에서 머리말을 딴 것이다. 백금이 포함된 항암제로 암환자들에게
태양
빛을 비추듯 밝은 희망을 주겠다는 뜻을 담았다.구체적으로 백금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선플라는 흔히 백금착체 항암제로 불린다. 백금착체란 말이 붙는 이유는 분자구조의 중심에 백금 원자가 있기 ... ...
서리 맞은 단풍은 꽃 보다 붉지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중의 수증기가 적어 높고 맑은 하늘을 볼 수 있다. 먼지나 수증기 같은 부유물이 많으면
태양
의 백색광을 대부분 산란시켜 희뿌연 색의 하늘이 된다. 하지만 부유물이 적은 가을 하늘에서는 푸른빛만 많이 산란돼 높고 먼 쪽빛 하늘이 된다. 그리고 이 맑은 하늘에 노을이 지면 시인의 표현대로 “먼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