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빨간 박테리아 줄까, 파란 박테리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페란 가르시아-피첼 교수 연구팀이 이곳 사막을 조사해 알아낸 사실이지요. 지난 6월 28일자 ‘사이언스’지에 붉고 푸르게 색을 입힌 우리 사진이 실리기도 했답니다.다만 바기나투스는 온도가 낮은 곳, 스텐스트로피트는 온도가 높은 곳을 좋아하지요. 연구팀은 앞으로 지구 온난화가 계속되면 ... ...
- 한눈에 보는 지구 산림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대체 무슨 일일까요?이 사진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지구의 ‘산림 지도’예요.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위성으로 찍은 지구의 산림 사진 데이터를 모아 만들어 낸 이미지랍니다. 녹색이 진할수록 산림이 울창하고 나무가 많다는 의미예요. 반면 도시가 발달했거나 바위가 많은 산, 사막, ...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뭐니. 이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로젤라 장미 우산을 만들게 었대. 이 우산은 지난 2008년 멋진 디자인에 상을 주는 독일 ‘레드닷디자인어워드’에서 상을 받기도 했단다.디자이너의 한마디조희형 로젤라 장미 우산 디자이너저는 무조건 새로움만 추구하는 것을 경계하고 사물 안에 이미 있던 ...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그에 걸맞게 작년에 논과 밭을 누비며 수원청개구리 생태조사를 한 결과도 나왔어요. 지난 7월 5일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에서 만든 과학논문이 공개됐답니다. 이번 논문에서는 그동안 추측에 머물렀던 수원청개구리 서식지에 관한 비밀이 들어있었답니다.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 ...
- 유전자로 특허 낼 수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대법원은 지난 6월 13일, 미국의 시민자유연합과 공공특허재단이 생명공학업체 ‘미리어드 지네틱스’를 상대로 2009년에 낸 유전자 특허권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어요.미리어드 지네틱스 사는 유전자 BRCA1, BRCA2의 돌연변이가 유방암 발생률을 각각 50%, 80% 높인다는 사실을 밝혀내 199 ...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돼!3D프린터가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니에요.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거든요. 지난 5월 미국 ‘디펜스 디스트리뷰트’라는 단체가 3D프린터로 만든 총으로 시험 사격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려 논란이 됐어요. 지금은 삭제됐지만 설계도까지 인터넷에 올려 누구나 총을 만들 수 있게 했죠. 또 ... ...
- 우주에서 동물 귀환! 하지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월 19일, 특별한 우주비행사가 귀환했어요. 지난 4월 19일 러시아 우주선 ‘비온-M’에 실려 우주로 떠났던 동물 수십 마리가 한달 동안 우주에 머물다가 귀환 캡슐을 타고 지구로 돌아왔지요. 쥐 53마리, 도마뱀 15마리, 달팽이 20마리와 어류, 박테리아로 구성된 이 무리는 약 500㎞ 높이의 우주 궤도에서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설치와 관리를 맡았어요.자연으로 돌아갈 준비를 하다춘삼이와 삼팔이는 지난 4월 8일 고향 제주도로 돌아왔어요. 현재 서귀포시 성산항에 있는 가두리(살아있는 물고기를 가둬두는 큰 그물)에서 야생적응훈련을 받고 있지요. 제돌이는 한 발 늦게 5월 11일 이곳으로 왔어요. 돌고래들은 6월 중순에 ... ...
- MIN TALK9 금사빠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성의 얼굴을 봤을 때 전전두엽에서도 중앙 부위가 반응했습니다.실험한 지 며칠이 지난 후 실험 참가자들은 사진에서 본 이성과 실제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 결과 사진을 보고 호감을 느낀 이성과 직접 만난 후 호감도는 약 63% 일치했고 이 중 10%가 넘는 참가자들이 실제 연인관계가 됐습니다. ... ...
- 과학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 정명고등학교 ‘STAR’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돌리는 각도를 센서가 감지해 그 각도만큼 바퀴를 회전시키는 무선자동차를 개발했다. 지난 부천과학페스티벌에서는 시민들이 로봇공학을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로봇 축구 게임을 만들었다. 터치 센서가 달려 있어서 손을 갖다 대기만 해도 공이 골대로 정확히 발사된다. 신동현 학생(2학년)은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