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식
하느님
군
현
주님
주예수
주간
d라이브러리
"
주
"(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별을 따로 광학적 이중성(혹은 안시 이중성)이라고 부른다. 이중성 중에서 밝은 쪽 별이
주
성, 어두운 쪽이 반성(동반성)이다. 동반성이 두 개 이상인 별은 삼중성, 사중성 으로 부른다. 별의 나이별은 수소를 헬륨으로 전환시키는 핵융합 반응(수소폭탄의 원리)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이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85해리 떨어져 있는 전설의 섬 '파랑도'(수심 5.5m)도 해양관측점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주
장이 제기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종합해양관측망이 구축되면 수집된 자료를 분석 정리해 관련기관에 배포할 종합해양정보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이 관측망계획에는 해양연구소 외에도 중앙기상대 해운항만청 ... ...
실개천이「끙끙끙」흐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뒤부터 합성세제에는 이런
주
의사항을 반드시 명기하도록 의무화했다.또 과거에는 이런
주
의사항을 깨알같이 작은 글씨로 표기했으나 지금은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을 만큼 큰 글자로 명기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여기까지 읽은 독자라면 지금 쓰고 있는 합성세제가 얼마나 위험한가를 대강 ... ...
21세기 우
주
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0년동안 '우
주
개발의 첨병'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던 미국의 우
주
왕복선계획은 이제 한단계 비약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 4월 12일은 미국의 우
주
왕복선 ... 한단계 향상시킨 엔데버(Endeavor)를 제작완료하고 내년 초에 발사할 계획이다. 차세대 우
주
왕복선은 어떤 모습을 할지 자못 궁금하다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공부하는지 모르는군. 우리 학생들은 하나라도 더 배우기 위해 시험도 정규시간이 아닌
주
말에 보기를 자청한다네."여기까지는 사실이다. 그러나 미디어연구소의 한 교수가 토로하듯이 "새로운 학문을 창조하는 것은 우리 교수들이 아니랍니다. 대학원 학생들이지요. 신경생물학 전산학 인공지능 ... ...
우
주
정거장에 재순환시스템 도입돼 우
주
에서 산소와 물을 자급자족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물은 수소와 산소로 분해된다. 이때 생성된 수소는 연소실로 보내지고 산소는 우
주
인의 숨쉬기에 쓰이므로 버릴 것이 하나도 없게 되는 셈이다.이미 산소재순환시스템은 수준급으로 작동하고 있다. 밀폐실 속의 사람들은 실제로 자신들이 만든 산소로 숨을 쉬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물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따서 이름 붙여졌다. 지금까지 대략 5백개 정도의 케페이드가 알려져 있는데, 그 변광
주
기는 1~55일 사이이다. 케페이드들의 광도 변화 곡선은 모두 유사하며 극대점으로 올라가는 것보다 극소점으로 떨어지는 것이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밝기의 변화는 통상 1등급 이내인데 예외적으로 1.5등급 ... ...
칩차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놓았다. 그
주
변에는 여러가지 색상의 그림을 걸어 놓았다. 색상은 흰색 검은색 빨간색이
주
류를 이루고 있었다. 칩차족의 그림에는 개구리형상이 많이 나타났는데 개구리는 힘과 원기를 상징했다고 한다.콜롬비아의 역사를 살펴보면 고대사는 완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12세기 무렵 북부지방을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지진을 야기시키는 응력분포가 당산지진이 일어난 중국 북동부와 동일함을 보여
주
는 바 앞으로 지속적인 지진 관측과 지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진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늘 생각해야 한다. 미국에 가면 그 나라의 곡물인 '옥수수'를 연구하겠지만 우리의 연구
주
제는 '옥수수'를 넘어 '쌀'에 이르러야 하지 않겠는가." 유학이 우리의 과학도들에게 더 이상 '필수가 아닌 필요'임을 강조하는 한국과학기술청년회장 장수철씨(연세대 생물학과 박사과정)의 뼈있는 한마디다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