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립
자립
자활
자율
정치적 독립
국가의 독립
자주빛
d라이브러리
"
자주
"(으)로 총 3,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 레인지 잘못 사용하면 큰 위험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쓸데없는 공포심을 갖고 있거나 잘못 사용해서 큰 사고를 당하는 예가 여러나라에서
자주
일어나고 있다.전자 레인지 사용에서 가장 위험한 경우는 마이크로 웨이브가 금속으로된 뚜겅 틈새로 빠져 나오는것. 마이크로 웨이브가 새어 나오는지를 체크하는 도구는 몇천원이면 살 수 있다.또한 잘게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등 본격 준비에 들어갔다. 허영호 대원은 장비구입과 현지 조사차 캐나다와 일본에
자주
들렸고 이봉훈대장과 연대 농업개발원 교수인 이주삼부대장은 북극탐험에 성공한 일본대학팀을 직접 만나 경험담을 듣기도 했다.이러한 치밀한 준비끝에 이들이 선택한 탐험로는 레절루트에 베이스캠프를 ... ...
과학실력 테스트에서 최하위 그룹 한국학생, 과학은 좋아하되 과학과목은 싫어해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교사는 시청각자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대답하고 있으나 일본의 교사는 가끔~
자주
사용하고 있다고 답하고 있다. ●―사지선다형출제도 과학실력을 낮추는데…학습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평가방법을 빼놓을 수 없다. 학습평가는 학습결과의 성취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나 ... ...
5개 대학 수석합격자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되는데 대학생활을 어떤 식으로 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 두었나요?김―요새 선배님들을
자주
만났는데요. 선배님이 제일 먼저 하시는 말씀이 수석으로 들어오는 애중에 제대로 졸업하는 애가 없다는 것이에요. 대학에는 공부하러 갔으니까 공부를 소홀히 할 수는 없지요. 학생시위는…. 무엇 때문에 ... ...
매킨리 산, 산악인을 매혹시키는 야성미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넘기지 않는 것이 상식처럼 돼 있지만 초기에는 계절을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아 사고가
자주
일어난 한가지 원인이 되기도 했다. 필자가 참여한 고려대 등반대도 7월27일 등정했지만 이런 계절적 요인을 사전에 충분히 고려한 것이다. 고도 900m가 수목한계매킨리산은 만년설아래 북극권의 아름다운 ... ...
불면 불몽의 건강학 마음먹은대로 잠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있다. 단잠을 잔 사람은 꿈을 꾸지 않는다는 근거없는 이야기를 들은 뒤 "나는 왜 꿈을
자주
꾸지 않을까?"하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다.따지고 보면 단잠과 꿈은 아무런 관련도 없다. 단지 단잠을 잔 사람이 꿈을 꾼 사실을 더 잘 잊어버릴 뿐이다.뚜렷한 의미나 연결성이 없는 꿈, 깊은 ... ...
국내최초로 「용오름」촬영에 성공 울릉도 앞바다의 500m 물기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것으로 기록된 바 있다.육지에서 발생하는 용오름, 즉 토네이도는 미국의 중·동부에서
자주
일어나고 있는데 1931년에 미네소타주에서 1백17명을 실은 83t의 객차를 감아올렸다는 기록이 있다. 토네이도의 중심부근에서는 매초 1백m 이상의 풍속이 되는 일도 있고 중심진로에 있는 지물(地物)을 맹렬한 ... ...
7백40만불의 크리스마스 케이크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된 일본은 과거 뉴욕이나 런던 파리 등에서 하던 호화 쇼를
자주
연다. 사진에 보이는 케이크는 무려 7백40만달러의 가치가 있는 것. 도쿄의 '하라추쿠'에서 열린 '89 다이아몬드 전시회에 선보인 것이다.이 케이크의 주재료로 대리석을 썼고 1천19개의 다이아몬드(총 636캐럿)로 장식해 놓았다.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일으키는 일은 거의 드물다. 중독사고는 면허없는 사람이 복을 다루는 음식점에서
자주
일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확한 통계가 없으나 복을 즐겨먹는 일본에서는 연간 1백명 정도가 목숨을 잃는다고 한다.복의 독은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이라는 화합물이며 분자식은 ${C}_{11}$${H}_{17}$${O}_{8} ... ...
주걱턱 교정의 3단계 교정-수술-교정으로 이어지는 1년6개월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턱뼈의 길이가 정상보다 긴 경우가 있다. 치열관리를 적절히 해주지 못했거나, 윗 입술을
자주
빨 때 치아의 축이 입천정으로 밀려 올라간 경우 주걱턱이 되는 것이다. 또 장기간 아랫 턱을 손으로 받치는 습관이 있는 경우에도 아랫턱이 밀려나와 주걱턱이 된다. 또 아랫 턱을 앞으로 내미는 습관이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