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바퀴가 세 개인 자전거가 한 대 있다. 얼핏 보면 일반적인 삼륜 자전거 같지만 안장의
위치
가 낮고 특수 설계된 페달이 달려 있다. 바로 장애인을 위해 누워서 탈 수 있도록 개발된 자전거다. 또 초소형 잠수함 모양의 마이크로 로봇은 혈관 속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차세대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바람이 어디서 불어오는지를 알아야 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은
위치
나 지형, 계절에 따라 모두 다르고 시시각각 변해. 그래서 1개월 또는 1년 등 오랜 기간 동안 바람의 방향을 측정한 뒤 가장 많이 부는 방향을 하나 정해서 ‘주풍’이라고 부르지.바람길을 만들려면 건물을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따라 이동합니다(왼쪽 그림 화살표). 따라서 태풍의 진로와 속도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위치
와 세기에 따라 바뀌지요. 이번 여름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예년보다 우리나라 쪽으로 훨씬 가까이 오고, 그 영향 범위도 커질 전망입니다. 그래서 태풍이 북태평양고기압에 가로막혀 아예 우리나라로 오지 ... ...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계절이 중요한 일에 활용했습니다.24절기는 하늘에 고정된 별 사이를 움직이는 해의
위치
를 이용해 만들었습니다. 원의 중심은 360˚이므로 해가 움직이는 길을 24등분하면 15˚간격을 이룹니다. 날짜를 따지면 약 15일이 됩니다. 해가 정동쪽에서 뜨는 춘분을 기준으로 0˚에서 시작해 해가 90˚에 오면 ... ...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계 변신의 귀재, 선!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대문자 P로 쓴다. 영어로는 plane P라고 읽는다. 다각형과 다면체에 위에 있는 선분은
위치
에 따라 변, 모서리,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다양한 선분의 이름을 하나씩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도형의 선분을 뜻하는 변으로 불리고 다면체의 옆면으로도 불리는 영어단어는 무엇일까? 바로 side다.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항상 정확히 동쪽에서 뜨는 게 아니라 북쪽과 남쪽을 향해 조금씩 움직입니다. 해가 뜨는
위치
가 가장 남쪽으로 내려왔을 때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남쪽으로 내려올 때까지의 날을 세면 일 년의 길이를 알 수 있습니다.막대기를 수직으로 세웠을때 생기는 그림자의 길이로도 일 년의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계획했던 지점보다 조류 특성은 조금 약하지만 진도대교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지금의
위치
로 옮겼다. 이런 우여곡절 때문에 2005년 4월에 시작한 공사가 지난 3월에나 마무리됐다.연간 1000t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조류발전을 고집하는 이유가 뭘까. 박 연구원은 “현재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찾는 방법에 주목했다. 즉 미시중력렌즈 역할을 하는 별이 행성을 거느릴 경우 행성의
위치
에 따라 이 부근을 지나가는 별빛의 경로를 휘게 하는 정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면 행성의 크기와 질량을 추측할 수 있다(미시중력렌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과학동아 2007년 4월호 ‘한국의 ... ...
다기망양과 미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그린 것과 같다. 이 그림으로부터 사실 소용돌이와 자동차의
위치
관계는 원과 자동차의
위치
관계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즉 각각 위상이 같음을 알 수 있다.미로 속의 자동차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복잡해 보이는 대상도 찬찬히 들여다보면 숨어 있는 패턴이 드러난다.‘다기망양’의 이야기와는 달리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유전자가 옮겨진 세포의 막 표면에 섬모 끝에 달렸던 것처럼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위치
하게 끌고 오는 일이었다. 박 교수의 연구팀은 망막 표면에 있는 광(光) 감각 수용체인 로돕신을 이용했다. 후각수용체에는 신호서열이 존재하지 않아 다른 세포로 옮겨 발현할 때 세포막에서 발현이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