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우주
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중요하게 대두되곤 한다. 쉽게 눈에 띄는 것이 진실을 가릴까 염려된다. 감은 눈에 맺힌
우주
도 보이는 것이라고 인정한다면, 나도 별 볼일 있는 사람이다 ... ...
사람이 살 수 있는 ‘제2의 지구’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곳에 사람이 살 수 있는 행성 ‘케플러-22b’를 찾아냈다고 12월 5일 발표했습니다.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관측한 결과 ‘케플러-22b’는 지구와 놀랍도록 비슷했어요. 지구처럼 흙과 바위가 많을 뿐 아니라 엄청나게 큰 바다가 액체 상태로 있거든요. 또 태양 같은 별 주위를 일정한 궤도로 돌고 있고요. ... ...
2012년 내가 제일 잘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중이란다. 힉스 입자는 모든 물질의 기본 입자라고 할 수 있지. 만약 존재가 밝혀지면
우주
탄생의 비밀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거야. 거대한 폭풍이 몰려 온다?태양 폭풍안녕? 난 빅뱅…이 아닌 태양계의 중심, 태양이야! 미안하지만 올해 지구에 사는 친구들은 내가 일으키는 태양 폭풍을 ... ...
Intro. 21세기 화성라이프!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화성까지 가는
우주
여행 모의실험인 ‘마스500’이 끝났다. 사상 최대의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도 장도에 올랐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30년 안에 화성에 사람을 보내겠다고 한다. 화성으로 가는 길이 점점 가까워오는 걸까. 인류가 화성에서 사는 날이 온다면 그 모습은 어떨까. 과학동아가 2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는 미리 알 수 없었다. 응급 상황에는 이제 익숙해졌다. 주로
우주
복이 망가져 저체온증, 질식, 저기압으로 인한 질환 때문에 병원을 찾는 사람이 많다.저중력이 끼치는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몇십 년 동안 저중력에서 생활하면서 생긴 신체의 변화에 대한 자료는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쓰인다. 2011년에는 구리합금으로 만든 양식어망이 통영에서 첫선을 보였다.
우주
선 개발이나 반도체 공학, 생명공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의 합금이 필요하다. 현종 군의 꿈은 집에서 시작됐다. 비즈(장식에 쓰이는 작은 구슬)공예 사업을 하셨던 아버지 덕분에 여러 가지 재질의 보석을 접했다.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순간 겨우 에어락에 도착했다.다들 헐떡이는 가운데 에어락에서 공기가 뿜어나오며
우주
복에 묻은 먼지를 깨끗이 털었다. 화성 대기에는 지름이 1~2μm인 먼지가 많다. 화성의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도 이 먼지 때문이다. 건조하고 미세한 먼지는 예민한 전자 장비를 고장 낼 수도 있다. 허파에 ... ...
오로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극지방에 있는 지구의 자극을 중심으로 둥그렇게 둘러친 커튼과 같은 모습이다.
우주
에서 보면 지구가 형광 빛 왕관을 쓴 것 같다. 왕관의 크기가 작으면 북쪽 하늘 위로 가로지르는 빛의 띠와 같은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커지면 관측자가 보는 남쪽 하늘을 가로지르게 된다. 왕관이 머리 위를 ... ...
우주
에는 ‘해왕성’이 가장 많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슈퍼지구에 속해 있다. 해왕성급의 행성이 1181개로, 확인된 행성들 중 가장 많다.케플러
우주
망원경은 행성이 중심별과 지구 사이를 지날 때, 행성에 가려 중심별의 밝기가 어두워지는 정도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행성의 지름을 알아냈다. 전구 위에 작은 날벌레가 앉았을 때보다 커다란 나방이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비대칭성인데, 왜 그런지는 현재 물리학의 최대 난제 중 하나다.일부 물리학자들은
우주
가 물질을 편애하는 이유를 기본입자의 모양으로 설명하려 했다. 예를 들어 전자가 찌그러진 모양을 하고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그러면 전자의 전하 분포도 고르지 못해서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와는 다른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