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줄기세포, 그 분화의 비밀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노보셀(Novocell)이란 줄기세포관련
생명
공학회사는 단계별 유도분화방법을 통해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인슐린을 합성하는 췌장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 신경세포 분화기법을 개발해 FDA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제론사도 역시 독자적인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이양했다.2001년 유방암 치료약인 허셉틴을 복용한 환자가 심장병 부작용으로 귀중한
생명
을 잃은 사건이 있었다. 그런데 2002년 허셉틴을 유전자 적중 쥐에 실험한 결과 심장병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발견됐다. 유전자 적중 쥐를 조금만 더 일찍 만들어 해당 약을 실험했다면 인명 피해가 없었을 지도 ... ...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주위에서는
생명
공학에 기하학을 응용하는 분야를 추천해주기도 했지만 그에게
생명
공학은 너무 생소했다.그런 가운데 눈에 들어온 분야가 사회현상에서 뽑아낸 여러 통계 데이터를 기하학적으로 분석하고 의미를 해석하는 정보기하학이었다. 특히 금융공학과 관련된 논문을 찾아 읽으면서 ... ...
감정 앗아가는 판데믹 바이러스 인베이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렘수면기 동안 핏속에 잠복한 외계
생명
체가 증식하는 것. 공교롭게도 캐럴 역시 외계
생명
체에 감염된 상태라 잠시라도 잠들면 렘수면을 거치며 신인류로 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렘수면이란 ‘Rapid Eye Movement’, 즉 자는 동안에도 안구가 빠르게 움직이는 수면기를 의미한다. 보통의 잠은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공업적 방법 외에, 콩과식물에 붙은 박테리아나 질화세균 등 토양세균과 같은
생명
체가 유리질소를 유기질소 화합물로 전화시키는 질소동화가 포함되기도 한다심장을 둘러싼 동맥 좌우로 2개가 있는데, 심방과 심실을 관상으로 둘러싸고 있는데서 연유한 이름가장 원시적인 난생(卵生) 포유류 다른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손에 쥔 조민행 교수는 포스트게놈시대의 주역으로 주목받는 단백질 분자 연구에서
생명
의 비밀 캐기에 여념이 없다.조 교수는 서울대 화학과에서 석사를 마친 뒤 미국 시카고대에서 물리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MIT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내며 연구 분야를 분광학으로 좁혔고, 현재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몸무게가 50g도 안 되는 작은 과일박쥐(Cynopterus brachyotis)가 날아다닌다. 그런데 이 조그만
생명
체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공기역학 연구자들은 과일박쥐가 공기의 흐름을 어떻게 바꾸며 나는지를 밝혀 비행체를 설계할 때 응용하려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케네스 브루너 박사는 과일박쥐 비행을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줄기세포은행 있어야줄기세포의 분화를 연구하고 있는 고려대
생명
공학부 김종훈 교수도 지난 2년 간 비슷한 고초를 겪었다. 그 역시 외국 연구자들로부터 “한국 줄기세포는 안 된다”는 말을 수차례 들었다. 이제는 미국 줄기세포은행에서 분양받은 세포를 배양해 쓰고 있다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지원하게 된 동기는?10살 때부터 우주인을 꿈꿨다. 밤하늘을 보면서 지구 밖에
생명
이 있을지 궁금했다. 우주에 대한 책을 읽으며 언젠가 내 꿈을 이루리라 다짐했다. 당시 우주는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였기 때문에 꿈을 간직한 채 과학을 공부했고 의사가 됐다. 우주인을 선발한다는 공고를 봤을 때 ... ...
아미노산 만드는 미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아미노산 중에서 꼭 음식으로 먹어야 하는 것들을 필수 아미노산이라고 해요. 카이스트
생명
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는 최근 “필수 아미노산인 발린을 대량으로 만드는 미생물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이 교수는 대장균의 유전자를 조작해 아미노산을 많이 만들도록 했어요. 이 기술을 이용하면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