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석"(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자들이 연구단에 합류했다. 김기훈 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신경신호 측정 및 분석시스템 개발), 최혁렬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인공 피부 및 근육 개발), 최영진 한양대 전자공학부 교수(인공 골격 및 관절 개발)가 선정됐고, 삽입형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마지막 연구팀이 추가로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역사는 인간의 지위에 대한 이런 인식을 거스르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오스트리아의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1856~1939년)는 인간의 순진한 자기애가 세 번의 중대한 모욕을 당했다고 주장한다. 첫 번째 모욕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두 번째 모욕은 다윈의 진화론, 그리고 세 번째 모욕은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운석신고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확률이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런 경우 지질자원연구원으로 보내 더 자세한 분석을 받게 된다고 해요.하지만 더 자세한 감정은 받지 않기로 했어요.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견한 것인지는 물론 어디서 어떻게 구입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어서 학술적으로 큰 가치가 없기 ... ...
-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 같은 주제를 정해 이를 해결해 보는 것입니다. 주제가 정해지면 관련된 자료를 모으고 분석한 뒤 그 결과를 정리해 발표합니다.이 수업은 평균이나 표준편차 등을 구하는 따분한 통계 수업에서 벗어나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친구들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나가는 토론형 수업이라는 점에서 ... ...
- [지식] 매운맛 커리를 만드는 황금비 0.4초, 50도, 5:4:9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수 있다.농구스타를 분석해서 따라 한다고 나도 농구스타가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수치를 분석하면서 스포츠를 보고 즐기면 재미가 두 배가 되지 않을까 ... ...
- [과학뉴스] 가방 끈 긴 사람, DNA가 다르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개를 발견했다. 변이는 주로 태아기 때 뇌신경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 군에서 나타났다. 분석 대상자들의 평균 학업 기간은 14.3년으로, 변이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학업 기간은 평균 9주 가량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가 지능과는 관계가 없으며, 아주 적은 효과만을 설명한다고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평가를 추가로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향초나 겔 형태의 제품은 국내외적으로 분석방법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밀한 노출 평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노출계수와 용도가 서로 다른 살균제와 보존제를 혼동해서도 안 된다. 방향제, 탈취제, 섬유유연제, 다림질보조제, 물티슈 등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대체 실험 방법이 필요하다. 그래서 최근 주목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줄기세포와 데이터 분석이다.줄기세포를 이용해 실험을 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사람의 장기에서 세포를 떼어내 실험을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간세포의 경우 간이식 수술을 하면서 분리한 세포(일차간세포)를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 있다.네트워크의 통계적인 분석은 언어의 진화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분석하는 데도 유용하게 쓰인다. 올해 초에도 네트워크를 이용해 여러 나라의 도시별 경제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밝힌 윤 연구원의 논문이 영국 왕립학회 학술지 ‘로열소사이어티인터페이스(Journal of Royal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000명 이상이 참여한 프로젝트예요.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라이고가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했답니다.역시 과학의 힘은 놀라워~! 100년 전 중력파는 그저 내가 주장한 하나의 개념이었어. 하지만 지금은 실제로 중력파를 검출해낼 수 있게 됐잖아! 그렇다면 앞으로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