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페트병 속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2개와 마개 2개로 미니 토네이도를 감상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보자
. 페트병 속에 어떻게 회오리바람을 담을 수 있을까.■ 왜 그럴까?처음에는 페트병을 뒤집어도 물이 아래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는다. 아래쪽 페트병 속에 공기가 가득 차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쪽 페트병을 여러번 흔들어주면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기둥의가스는 밀도의 차이 때문에 동시에 빠져나가지 않는다. 가장 큰 기둥 꼭대기를
보자
. 증발되지 않고 남은 밀집된 가스지역이 독수리 발톱처럼 뻗어 있다. 바로 발톱 끝부분에 성운 곳곳에서 잉태된 별을 품은‘알’들이 들어 있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예상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처음 ... ...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과일과 채소를 천천히 소화시키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 있다.다음으로 위의 산도를 생각해
보자
. 동물의 살은 온갖 세균과 노폐물이 있기에 높은 산도로 살균해야 한다. 따라서 육식동물 위장의 소화액은 초식동물보다 10배나 강한 염산을 분비한다.하지만 일반적으로 식물은 독성이 없으므로 살균할 ... ...
4. 10년 후 커다란 강 하나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나눠 연구하는 것이다.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해 필요한 연구과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자
. 전통적인 수자원인 지표수의 경우 좀더 합리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현재 지표수가 어디에 얼마만큼 있는지를 좀더 정확히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강수량, 기온 등 기상정보를 사용해 지표수 양을 10%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끈이론은 10차원에서 성립한다. 또 5종류의 끈이론을 하나로 통합하는 M이론은 11차원을 가진다. 왜 이렇게 고차원일까. 이해하기 힘들지만 수학적인 방법에서 출현한 것이다. ... 정체를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다.최신우주론 분야의 한국 대표학자들이 벌여나갈 새로운 연구에 주목해
보자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빨리 손실된다.보통 사람이 공기 중에서 옷을 입지 않고 맨몸으로 노출될 때를 생각해
보자
. 기온이 약 27℃까지 내려가더라도 피부로 가는 열을 줄임으로써 체온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기온이 그 이하로 내려가면 혈관이 더 수축되지 않기 때문에 이때부터는 떨기 시작한다. 심하게 떨면 ... ...
3. 전세계 디지털 복원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복원 사례를 시원하게 펼쳐봄으로써 디지털 복원의 밝은 미래로 한발짝 가까이 다가서
보자
. 명동성당디지털 명동성당은 3차원 레이저 스캐닝 기법으로 실측한 뒤 3차원 캐드 도면으로 저장한 문화재다. 디지털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레이저 정밀 카메라를 들고 유적의 세부 사항을 일일이 촬영한 뒤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들어가기 위해 냉동액체는 필수적이다.냉동액체가 열어준 극저온 세계를 체험해
보자
.만물의 비밀을 풀기 위해 과학자들은 우주가 갖는 한계를 뛰어넘는 환경을 실험실에서 구현하려고 애쓴다. 예를 들어 우주의 극고진공, 핵융합이 일어나는 별의 극고온의 상태를 말이다.그런데 다양한 우주의 ... ...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역사에서 보기 드물게 동일한 여성과 사랑했던 두명의 과학자, 그리고 한 여성을 만나
보자
현란한 쫄티를 입은 가수 박진영이 “나에게는 여자가 있는데, 이러면 안되는데…”라는 노래에서 애절하게 호소하듯 사랑하는 남녀에게 최대의 적은 또다른 남자 또는 여자의 출현이다. 이른바 애정의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가운데에 밝은 백색왜성이 빛난다. 개미성운에는 백색왜성이 어디에 있을지 한번 찾아
보자
. 개미의 머리와 몸통이 연결되는 지점을 보면 밝은 별이 하나 눈에 띈다. 바로 이 별이 백색왜성이다. 개미성운으로 변신하기 전에 이 별이 태양과 같은 별이었던 것이다.그런데 허블우주망원경이 보여준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