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함께 조사를 하다 보니 집 근처에 왕릉이 꽤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됐답니다. 처음에 간 곳은 서삼릉인데 그중에 효릉이 비공개라는 사실이 매우 의아했어요. 알아 보니 축협 사유지의 가운데 있기 때문이었지요.몇 번의 시도 끝에 겨우 허락을 받아 답사를 하게 됐는데, 오히려 이런 일들이 저의 ...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가루처럼 날려요. 결정도 육각형이 아닌 기둥 모양이랍니다. 이런 날씨에는 눈이 쌓인 곳을 밟았을 때도 눈이 서로 엉겨 붙지 않아서 뽀드득 소리가 크게 난답니다. 즉 대기가 춥고 건조하면 수분이 적은 가루눈이 내리기 때문에, 쌓일 정도로 많이 내리더라도 눈덩이가 뭉쳐지지 않는 것이지요.눈 ...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아저씨를 가둬 놓은 이유가 뭐죠?”“내 이름은 존 포브스 내시라네. 며칠 전 갑자기 이곳에 잡혀왔어. 내가 만든 수학 이론 때문에 화가 난 마왕이 내게 저주를 걸고 날 가뒀지.”“그게 뭔데요? 저주를 걸어 놓았다는 건….”내시와 말을 나누던 단은 창살 옆에 쓰여 있는 그림과 글자를 발견한 뒤 ... ...
- [News & Issue]다이아몬드 능가하는 신구조 탄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 탄소 소재로는 유일하게 자성을 띄고, 다이아몬드보다 1.6배 더 단단하며 어두운 곳에서는 더 밝게 빛났다. Q-탄소를 이용하면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도 있다. 기존에는 어려웠던 nm 크기의 다이아몬드 주삿바늘이나 필름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10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이하인 먼지로, 기도와 폐뿐만 아니라 폐포 깊숙한 곳까지 침투해 뇌졸중, 천식, 동맥 경화 등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부피가 45m3(학교 교실의 약 4분의 1)인 일반 사무실에 FDM 프린터를 작동시키면서 1분 간격으로 대기 중 입자 개수를 측정했다. 그 결과, 분당 최고 190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럼 원래 정사각형이 있던 곳엔 아무것도 남지 않았어야 한다.그런데 알다시피 그 곳엔 아직 엄청나게 많은, 크고 작은 기하학 구조들이 남아있다. 그리고 그 면적의 합은 0이다. 이 구조가 바로 프랙탈이다. 수학적으로 프랙탈의 차원을 구해보면, 1과 2 사이의 무리수 값(log8/log3 ≈ 1.8928 ) 이 ... ...
-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들에게 건네 줄 단 하나의 이론도 표준모형일 가능성이 높다. 일상에서 우주 깊은 곳까지 설명하는 표준모형을 A부터 Z까지 상세히 마스터해 보자. 그리고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미래의 물리학이 무엇일지도 점검해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Part 1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여왕의 의식을 자극하고 깨울 생각이었지. 여긴 우리가 그 목적을 위해 3000년 전에 만든 곳이야. 그리고 당신은 여왕에게 들려줄 이야기꾼으로 선택되었어. 당신은 부스터가 아니라고 그랬지? 당신이 지금까지 보고 들으며 머릿속으로 지어온 모든 이야기야말로 우리 모험의 목표였어. 여왕은 꿈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머니나, 싸이월드의 도토리 등도 가상화폐에 속해요. 하지만 기존의 가상화폐는 사용할 곳도 많지 않고, 한번 구입하면 다시 현금으로 바꿀 수 없다는 것이 약점이었어요.그런데 비트코인은 좀 달라요. 비트코인은 실제 돈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온오프라인에서 모두 쓸 수 있거든요. 2009년 익명의 ... ...
- 과학뉴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봉투에 넣은 뒤 빨대로 빨아 마셔야 해요. 중력이 없으면 액체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지 않아 컵을 기울여도 음료가 나오지 않거든요. 그런데 최근 미국 포틀랜드대학교 마크 와이즐로걸 교수팀이 무중력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컵을 만들어 실제로 우주에서 사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