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81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것도 예술 작품? '해골 조각' 공포와 논란
2016.11.03
있다. 하지만 일부는 “개성이 넘치는 아이디어 작품”이라면서 예술의 영역을 넓히고
한계
를 극복한 작품이라고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
과학동아
l
2016.11.03
관계를 강화하고 싶다. CERN 제공 Q. 거대강입자충돌기(LHC)가 낼 수 있는 에너지에는
한계
가 있다. 그보다 높은 에너지가 필요한 실험은 할 수 없다. ‘LHC 시즌2’에서 우선순위로 생각하고 있는 목표는 무엇인가. CERN의 미래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할 계획인가. A. LHC는 이미 에너지를 기존의 1.6배까지 ... ...
특수안경 없이 스마트폰으로 3D 영상 본다
2016.11.02
거리가 최소 1m는 확보가 돼야 해서 가까운 거리에서 보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
가 있었다. 최근 안경이 필요없는 ‘무안경 3D 영상 기술도 개발되고 있지만 가격이 비싼 점이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이 교수팀은 스마트기기 화면 위에 패널 2개를 겹으로 쌓아 붙이는 방법으로 눈 ... ...
뇌자극 ‘신경전극’ 개발… 뇌졸중 치료 가능성 열었다
2016.11.01
개발됐던 전극은 표면적이 적어 효율이 낮고, 강도도 떨어져 실제 치료에 적용하는 데
한계
가 있었다. 연구진은 5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홈이 수없이 파인 가느다란 금 나노 구조체 위에, 10nm 이하의 두께의 얇은 이리듐 산화물을 코팅해 새로운 신경자극용 전극을 개발했다.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26, 0.30배로 추정된다. 기체 덩어리의 30%가 별이 된다고 가정할 경우 가장 가벼운 건 별의
한계
인 태양질량의 7.6%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이다. 연구자들은 이 상태가 별 네 개로 이루어진 사중성계가 될 수도 있지만 덩어리들이 서로 더 멀어져 한 두 개가 떨어져 나갈 경우 쌍성계 또는 삼중성계가 될 ... ...
한계
드러난 세월호 인양…선미들기 '플랜B'로 변경
포커스뉴스
l
2016.10.31
세월호 유가족들이 3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기자실에서 연영진 세월호선체인양추진단장의 세월호 선미인양 방식 변경에 대한 브 ... 핵심을 부분 도입하는 것”이라며 “상하이샐비지의 부력재 방식이 현실적으로
한계
에 부딪혔음을 인정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 ...
1조6000억원 규모 ‘국가전략 프로젝트’ 주먹구구 예산편성
2016.10.26
자율주행차 등 미래 먹거리 산업이 포함됐다. 조선과 석유화학, 철강 등 기존 산업이
한계
에 달한 절박한 상황에서 한국의 미래 먹거리를 찾는 성격이 강해 이 프로젝트의 성패가 한국의 미래를 결정할 수도 있는 사업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국회예산정책처는 국가전략프로젝트 중에서도 ... ...
사망까지 이르는 ‘뇌 염증’ 원인 밝혔다
2016.10.25
없었다. 또 이 병의 병리현상을 재현할 수 있는 동물모델도 없어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
한계
가 있었다. 연구진은 난치병 세포 치료기술로 꼽히는 ‘유도만능줄기(iPS)세포’를 이용해 이 난제를 풀었다. iPS세포는 사람의 세포를 역분화해 만든 줄기세포로, 어떤 종류의 세포로도 재분화시킬 수 ... ...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6.10.23
만들기 때문에 실험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연구에도
한계
가 있었다. 바로 유전체 해독이 어렵다는 점이었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는 특이하게도 2쌍, 즉 4개의 염색체 그룹을 갖고 있기 때문이었다. 인간을 포함한 다른 동물들은 대부분 부모에게 하나씩 염색체 ... ...
실험동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유전체 비밀 풀었다
2016.10.20
불구하고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를 최근 주목받고 있는 유전자 교정 연구에 활용하기에는
한계
가 있었다. 인간이 아직 이 동물의 유전자 정보를 정확히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는 식물에서만 볼 수 있었던, 염색체 4개로 이뤄진 ‘4배체 유전자 그룹’ 동물이라서 기존 기법으로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