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7,00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33일 머물며 '머슬퀸'된 암컷 쥐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억제하는) ‘마이티 마우스’ 약물을 처방하자 근육이 원상태로 재빨리 회복됐다”며 “
인간
의 근 감소증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향후 더 많은 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소방 빅데이터로 재난 예측하는 전문인력 양성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했다. 소방청은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를 다각적 차원에서 분석해서 지역과 시간,
인간
행동 특성에 따른 재난예측과 피해 감소대책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희윤 KISTI 원장은 “KISTI의 슈퍼컴퓨터 5호기 인프라 활용과 소방청이 보유하고 있는 약 171억 건에 대한 데이터 정제 ... ...
'비난'보다 '이해' 먼저 하는 방역 대책이 필요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9.07
가지 못하게 권하고, 간 사람들에게는 죄책감을 유발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
인간
이 느끼는 ‘근본적 지루함’이라는 문제를 과소평가하지 말고, 차라리 원천 차단하는 게 사람들을 덜 힘들게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젊은 사람들(빨간 그래프)는 50대 이상(녹색 선)에 비해 전반적인 ... ...
청바지 작은 섬유조각은 어쩌다 수만km밖 북극까지 흘러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07
그만큼 많은 미세섬유가 발생했다"며 "북극에서 데님 미세섬유가 발견되는 것은
인간
의 영향이 점점 확산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매년 12억벌 이상의 청바지가 매년 판매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미세섬유 포함된 합성염료도 오염 가중 ... ...
무섭게 자라 버린 강아지
팝뉴스
l
2020.09.06
그런 것은 아니다. 개의 시간은 사실 사람보다 더 빠르다. 그리고 개의 성장 속도도
인간
이 볼때 눈부신 수준이다. 위 사진은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된 것인데, 개가 얼마나 커지는지 정확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흥미롭다. 사진은 보면 개는 최소한 10배로 자란다. 그런데 다 자라고도 ... ...
[백신 업데이트] 논란의 러시아 코로나 백신 임상 1/2상 결과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06
백신 후보물질이 이 방식을 따르고 있다. 영국과 중국의 백신 후보물질은 각각 영장류와
인간
에 감염되는 5형 아데노바이러스를 전달체로 쓴다. 반면 가말레야연구소의 스푸트니크 V는 5형 아데노바이러스와 함께 26형 아데노바이러스를 함께 쓰는 혼합 벡터를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연구팀은 두 ... ...
[표지로 읽는 과학]엄청난 돈 들이는 선거 전 캠페인, 그만큼 가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06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지구 위에서 중심을 잡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는 투표함의 모습을 이번주 표지에 실었다. 투표는 민주주의를 ... 기초가 되는 사회와
인간
행동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가 민주주의를 증진시킴으로써
인간
의 삶과 사회를 나아지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코로나 시대 우연히 베푼 친절이 삶을 지탱한다
2020.09.05
큰 행복과 삶의 의미감, 또 자아실현과 관련을 보였다고 한다. 대체로 약하고 무력한
인간
이지만 작은 손길 하나만 있으면 무한동력 배터리라도 장착한 듯 다시 살아날 힘을 얻는 것이 또 우리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거대한 어려움 앞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못하는 것일 거다. 작은 친절에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외래 동식물 침입에 뒤섞이는 전세계 생태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생태계 네트워크의 특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인간
의 환경 파괴가 심한 지역일수록 외래종 유입이 많았으며, 외래종 유입은 지난 75년간 7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별로는 큰 대륙보다는 태평양이나 대서양의 섬 지역이 특히 심했다. 또 외래종은 ... ...
과욕이 부른 바다의 참사
팝뉴스
l
2020.09.04
팝뉴스 제공 과욕 때문에 큰 낭패를 보는 이들이
인간
사회에서만 있는 게 아니다. 바다 생물들도 감당 못할 욕심을 부렸다가 더러는 생명을 잃고 만다. 해외 SNS 화제의 사진으로 떠오른 위 이미지는 곰치의 최후를 포착했다. 곰치는 복어를 물었다가 자신의 생명을 잃고 말았다. 욕심도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