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관찰"(으)로 총 3,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충북 제천,아꿍펙토리]제비 160428-2 충북 아꿍펙토리 일시:160428 시간 :17탐사기록 l20160428
- [충북 제천,아꿍펙토리]제비 160428-2 충북 아꿍펙토리 일시:160428 시간 :17시31분 주소 :수산면 오티로 11길 107-3 장소 :마을 회관 가옥구조:1번 둥지위치:처마끝 바람세기:1번 산들바람 기상조건:2번 구름 소음정도:1번 약간 제비알 :없음 추가 정보: 관찰되는 제비 3마리 ...
- #귀화식물#[ 강원,지구야 사랑해] 160425-4 개망초 원주시 무실동 이편한세상 아탐사기록 l20160425
- #귀화식물#[ 강원,지구야 사랑해] 160425-4 개망초 원주시 무실동 이편한세상 아파트 단지 울타리 지난번 관찰했던 개망초 잎 다시 관찰함 08시50분 잎이 1주일새 많이 자라남 햇살이 있지만 조금 춥게 느껴짐 16분의 10정도 분포로 매우 많이 핌 ...
- #귀화식물# 충주합참의장팀 160425-01 지속적 관찰이 필요한 이유인가봅니다. 식물탐사기록 l20160425
- #귀화식물# 충주합참의장팀 160425-01 지속적 관찰이 필요한 이유인가봅니다. 식물이 꽃이 있을때랑 없을때가 너무 달라보입니다. 바람ㅡ없음 날씨ㅡ해가 쨍쨍. 미세먼지ㅡ있음. ...
- 흑점이란 태양 표면에 있는 깨알처럼 작은 부분을 말한다. 발생 원인은 태양내부에서 발생하는탐사기록 l20160425
- 한다. 흑점은 못봤으니 그저 흑점의 자취라고 생각하자. 5월 햇살 좋은 어느 날, 천체망원경을 옥상으로 끌고 가서 멋진 흑점을 관찰해보자. 어쩌면 우리는 태양의 빛 때문이 아니라 이 거대한 모습에 고개 숙이는지도 모르겠다. (http://m.blog.naver.com/williology/220692282829, 참고) ... ...
- #제비# [전북,닥터구리] 160424-1 익산시 신흥동 4월24일 오후 날씨 맑음, 미탐사기록 l20160424
- #제비# [전북,닥터구리] 160424-1 익산시 신흥동 4월24일 오후 날씨 맑음, 미세먼지 산들바람 빈 제비집 계속 관찰 중. ...
- 귀화식물 김천과학수사대 160424 날씨맑음 김천지례면이전리에서 관찰한 귀화식물 잘못탐사기록 l20160424
- 귀화식물 김천과학수사대 160424 날씨맑음 김천지례면이전리에서 관찰한 귀화식물 잘못 올랐네요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7회 김포장릉을 다녀오다 추존원종과 인헌왕후 이야기: 선조의 삐뚤어진 자식사랑기사 l20160424
- 상설을 본 적이 없었다. 능상에서 방귀버섯을 발견했다. 무지막지하게 뿜어대는 이 녀석의 포자를 비닐에 잘 담아왔다.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조만간 포스팅 할 예정이다. 왕릉 답사의 묘미 중 하나이다. 멋드러진 소나무 옆으로 난 길로 조심스럽게 올라갔다. 유난히 왕릉 관리에 적극적인 분들이라 여간 불안해 하지 않으셨다.^^ 정자각 위에 놓 ...
- #제비# [강원, 지구야 사랑해 ] 160423-2 춘천시 신동면 정족리 햇살은 있지탐사기록 l20160423
- #제비# [강원, 지구야 사랑해 ] 160423-2 춘천시 신동면 정족리 햇살은 있지만 바람 많이 붐 제비 둥지 안 관찰했지만 아직 알이 없음 둥지를 관찰하다보니 제비가 둥지 근처에 왔다가 멀리 가서 주변만 맴돔 ...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기사 l20160421
- 그 미생물도 이 석회암과 황토색 셰일 속에 어쩌면 그 흔적을 남겼을지도 모를 일이다. 다음에 이곳으로 실체현미경을 들고와서 직접 관찰해 볼 예정이다. 무거운 현미경을 이곳까지 운반해 줄 아빠에게 미리 감사를 드린다~^^혹시나 하는 기대감이 가설이 되고 그 가설이 사실이 되는 순간을 고대한다.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5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2편 영릉: 영릉, 세 개의 묘비가 말해주는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수소황후의 애달픈 이야기기사 l20160419
- 또한 진종의 어린 나이 탓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직박구리 한 마리가 답사 내내 따라다녔다. 30배율의 카메라를 사고 나서 새를 관찰하는 게 무척 재밌는 일상이 되고 있다. 묘 뒤편에서 바라본 장명등의 모습. 거의 가운데에 위치해 있다. 23년의 세월을 후손 없이 외롭게 살다가 창경궁 건극당에서 37세로 세상을 떠난 효순왕후. 죽어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