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귀에 음향장치과학동아 l2012년 05호
- MP3 플레이어에 이어폰을 꼽기만 하면 ‘버스커버스커’나 ‘용감한 녀석들’의 노래를 언제든지 들을 수 있다. 엄지손톱만한 크기의 이어폰에서 어떻게 이렇게 풍부한 음악이 나올까? 원리를 알면 만들 수 있을까? 한번 알아보자. ...
- 썰렁홈즈와 함께하는 매머드 발굴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2년 러시아의 유카기르 마을에서 발견한 유카기르 매머드의 상아라고 쓰여있구나.상아의 크기와 굽은 정도로 봤을 때, 이 매머드는 나이가 40살 정도 됐겠어. 그 앞에는 유카기르 매머드의 왼쪽 앞발이라고? 2만 년이 지났는데도 힘줄, 근육, 피부가 그대로 남아 있군. 아…, 아니, 이것은! 진짜 ... ...
- 진화에서 인공지능까지, 똑똑한 유전 알고리즘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조금씩 달랐다. 가장 큰 차이는 부리였다. 섬에서 구할 수 있는 먹이에 따라 부리의 크기와 모양이 달라졌기 때문이다.다윈은 이렇게 부리가 달라진 이유가 자연선택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처음에 핀치 새들은 딱딱한 먹이를 잘 먹는 부리, 벌레를 잘 먹는 부리, 열매의 속만 파먹는 부리 등 다양한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로봇과 네가 똑같이 느낄 수 있는 교감형로봇 말이지. 내가 봐도 이게 딱인 것 같아. 크기도 작았으면 좋겠다고? 그렇다면 입는 로봇이 제격이지. 이번에는 확실하게 만들어 줄게.만화·영화 속 나와 같다면생각과 감각을 주고받을 수 있는 교감형로봇에는 영혼기병 라젠카, 에반겔리온, 아이언맨이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수, ππ는 원주율을 대신하는 기호로, 원의 둘레에서 지름을 나눈 값이다. 모든 원은 그 크기가 다르더라도 같은 원주율 값을 갖는다. 오래 전부터 많은 수학자들은 원주율의 값을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 수를 기호 π로 쓰게 된 것은 1706년 영국의 수학자 윌리엄 존스에 의해서다. 이후 176 ...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2년 05호
- 같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선의 각도에 따라, 전신을 볼 수 있는 최소한의 거울의 크기가 결정된다.예를 들어 백설공주의 시선의 각도가 45°라고 가정하자. 이 때 tan45°의 값은 1이다. 왼쪽 그림과 같이 시선의 연장선으로 그려지는 직각삼각형을 살펴보면, 거울에서 키의 절반 만큼 떨어져 ...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늘리면, 늘린 만큼 다른 부위를 줄여야 하는 것이다.또한 펼친 도면을 활용해 종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각 부위의 비율이 일정한 작품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길이가 아닌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해 펼친 도면을 설계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 때 작가들은 ‘기하학적 ...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타이타닉과 부딪친 빙산은 크기가 어느 정도였을까. 생존자의 증언이 제각각이라 빙산의 크기를 정확히 알수는 없다. 물 밖으로 보이는 부분의 높이가 9m라는 이야기부터 거의 50m라는 이야기까지 있다. 그러나 물 밖으로 드러나 보이는 부분은 전체 빙산의 약 8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제대로 ... ...
- 더블 쓰나미가 일본 덮쳤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022J(줄·에너지 단위)로 파괴력은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6만 배에 달했다.1900년부터 지진의 크기를 측정한 이래 역대 네 번째로 강하고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강력했다. 땅의 흔들림에 정신을 차릴 틈도 없는 사이, 파고가 10m에 달하는 시커먼 바닷물이 초속 11m의 빠른 속도로 해안가로 ... ...
- 우주망원경 총정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60개 이상이 외계 행성으로 확정됐다. 지난해 12월에는 거문고자리에 있는 별에서 지구와 크기가 거의 비슷한 행성 ‘케플러-20e’와 ‘케플러-20f'를 발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은 중심별과 거리가 너무 가까워 표면 온도가 1000℃에 육박한다. 생명체가 살 가능성은 희박하다.플랑크는 지금까지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