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공학을 연구할 수 있는 분야는?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생활의 편리함의 추구를 넘어 삶의 가치를 높이는 데 주목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
공학에 대한 전망은 밝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글 조진표·와이즈멘토 대표이사·jpcho@wisementor.net첨단 경영컨설팅 기법을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적용하는 방법을 창안해 2004년부터 교육전문컨설팅 기업 와이즈멘토의 ... ...
아이, 로봇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그러려면 주인을 해치려는 악당에게 해를 입히는 셈이 됩니다.
인간
을 보호하기 위해
인간
에게 해를 입혀야 하는, 즉 제1원칙을 지키기 위해 제1원칙을 어겨야 하는 상황이 되는 것이죠. 로봇심리학자인 캘빈 박사는 이런 상황에 처한 로봇은 갈등으로 인해 미쳐 버린다고 이야기합니다.맞습니다. ... ...
줄기세포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화장품의 속성상 살아 있는 세포를 넣는다는 것은 상상하기도 어렵다. 성체든, 배아든
인간
줄기세포를 활용한 화장품은 줄기세포를 직접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지는 않는다.그렇다면 왜 줄기세포 화장품이라고 부를까. 줄기세포 화장품이란 용어에는 많은 내용이 함축돼 있다. 1월 초 출시된 A사의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것이
인간
형 로봇을 만드는 진짜 비결인 셈이다.휴보2의 몸체를 만든 김민수 연구원은 “
인간
형 로봇은 독립적인 운동을 하는 수많은 부품들의 집합체”라며 “손목 하나, 발목 하나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쉽지만 그런 부품들을 모두 모아 사람처럼 움직이게 만드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고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그야말로 ‘눈 폭탄’이었다. 거대한 눈 더미가 온 도시를 순식간에 집어삼켰다. 아름다움을 감상할 여유는 없었다. 눈이 20cm가 넘게 쌓 ...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줄이자는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데만 십수 년이 걸리는 이기적인
인간
들의 행태를 볼 때 지금의 이상기후는 우려스럽기만 하다 ... ...
‘손발이 오그라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William Jame)와 칼 랑게(Carl Lange)의 이론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들의 정서 이론에 따르면
인간
의 감정 변화에 따라 신체의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자극에 대해 신체 반응이 먼저 오고 이를 해석한 것이 감정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등산을 하다가 뱀을 만나면 반사적으로 몸이 움츠러들고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오로지 음으로만 수축돼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한 번의 실수로 “난 뭘 해도 안 되는
인간
이야”하고 자기 자신에게 낙인을 찍거나 부정적 측면만 보는 태도다. 따라서 성공적인 인생을 살아가려면 지나친 낙관주의나 부정적 사고에서 벗어나 긍정주의로 나가야 한다. 긍정주의가 필요한 이유는 ... ...
“ 위이잉~!” 짝을 부르는 모기의 날갯짓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조절하여 주파수를 맞추며 짝을 만난대요. 이렇듯 두 모기가 주파수를 적절히 조절하면
인간
에게 완벽한 화음처럼 들리지요. 하지만 서로 다른 모기 종이면 날개 모양이 달라서 주파수를 비슷하게 조절 하지 못해 화음을 이룰 수 없고, 짝짓기도 할 수 없답니다. 연구팀은 “하등한 생물인 모기의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협약을 통해 133개국이 1308개의 습지를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다. ▲ 유네스코의 MAB(
인간
과 생물권 계획)에 선정된 신안 다도해. 이 지역에는 다양한 온대 식물과 나무들이 살고 있다. 또 국내 조류의 75% 이상인 337종의 철새들이 지나가는 곳으로서 그 가치가 높다. 특히 섬마다 발달한 넓은 갯벌과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는 컴퓨터로 반응-확산 방정식을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와도 동일했다.태아 시절,
인간
보다는 조금 늦게, 표범보다는 조금 빨리 만들어진 호랑이 줄무늬의 비밀은 이제 현대 수학으로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언젠가는 왜 하필 그 시기에 무늬가 만들어지는지도 수학으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201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