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기원설' 손들어준 Y 염색체 연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발견되는
유전
적 변이는 3만5천년-8만9천년 전 아프리카에 살던 원시고대인류의
유전
적 변이와 동일했다. 이것은 아시아인을 포함한 현생인류가 단일한 조상, 즉 아프리카에서 살던 원시고대인류로부터 기원했음을 의미한다. 이번 Y염색체 분석 결과, 아프리카 기원설은 현재 진행중인 3라운드에서 ... ...
② 생명 탄생의 기원지 해저 열수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에이즈나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유전
자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그리고 열에 강한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는 고온에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용한 아미노산까지 얻을 수 있어 환경정화와 자원재활용에 직접적으로 ... ...
5년 후 비만 방지약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쥐의 체중이 10-15% 정도 덜 나가고 지방은 50%까지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놀랍게도
유전
자 조작된 쥐는 음식을 평소보다 40%나 더 먹고도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와킬 박사는 ACC2 효소가 미토콘드리아에 여분의 지방이 흘러가는 일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아냈다 ... ...
외부
유전
자를 삽입한 복제 돼지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만일 앞으로 면역거부반응이 생기지 않도록
유전
자를 삽입하고, 그 돼지를 복제하면 장기를 대량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동물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면 돼지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유입돼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것은 다를까.그 비밀은 뇌에 있다. 침팬지와 인간의
유전
자는 거의 99%가 일치한다.
유전
자의 역사로 계산하면 인간과 침팬지가 나뉘어진 때는 약 6백만년 전이다. 지구의 역사가 46억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말 가까운 사촌지간이 아닐 수 없다.그러나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의 언어중추는 중뇌 ... ...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같은 양자역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설명으로 논의를 전개한다.특히 그는 돌연변이와
유전
자의 안정성 문제를 양자역학의 에너지 준위의 문제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있다. 또한 그는 생명체가 안정성, 즉 자체의 질서도를 유지하는 것은 환경으로부터 소위 음(陰) 엔트로피를 흡수함으로써 가능한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세균의 경우에는 같은 종에 속하는 두 개체간의 변이도가 약 3%나 된다. 이렇게 높은
유전
자 변이도가 미생물의 천부적인 환경 적응력과 직결된다.그렇다면 화성의 땅밑이나 목성 위성 유로파의 얼음표면 밑에서 미생물을 기대하는 일은 무리가아니다. 나아가 먼 외계에서도 적당한 조건만 ... ...
음식에 대한 극단적인 거부와 집착 301 302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확률이 1%도 안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굉장히 높은 일치율이다. 이 연구 결과는 거식증이
유전
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301 302에서 거식증 환자 송희는 거의 식사를 하지 않으면서도 정상적인 생활을 상당 기간 유지한다. 이런 일이 어떻게 가능할까. 과학자들은 거의 정상적인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모종의 다른 요인의 결과라고 볼 수는 없을까요?답 : 물론 그렇지요. 예를 들면 특정한
유전
자를 갖고 있다거나 전반적인 영양상태가 좋다거나 하는 경우에 이것이 원인으로 작용해서 건강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고 동시에 성관계 빈도도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한다는 설명도 가능합니다. ...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단백질은 10개의 아미노산이 반복돼 있는 구조다. 이 교수는 이러한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
자 부위를 대장균에 넣어 대량생산에 성공했다.이 교수가 개발한 홍합 접착제는 물에 젖을수록 더욱 강력한 접착 능력을 자랑한다. 홍합 접착제는 의학에서 혁명과 같은 변화를 몰고 올 수 있다. 예를 들어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