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사람의 코 모양은 기후 탓?!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들이마신 공기를 적절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래야 코 안의 섬모가 세균과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을 걸러서 감염을 막아 줄 수 있어요.최근 미국과 벨기에, 아일랜드 국제공동연구팀은 기후에 따라 사람들의 코 모양이 다르게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 ...
- 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만큼 가보고, 웬만한 실험이나 메이커도 다 해 봤지! 그런데 뭐지? 뭔가 부족한 이 기분?안 되겠어! 과학의 달을 맞아 아주 특별한 과학을 찾아봐야겠어.▼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 ...
- Part 5. 3D프린터, 트랙터까지 내 손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착한 과학에 관심을 갖고, 혹시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면 꼭 공유해 주길 바랄게. 안녕!▼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예상 1. 콘크리트는 의외로 약하다?인류는 콘크리트가 개발되기 전까지 수천 년 동안 돌을 쌓아 건물을 지었다. 그 중에서도 건축에 많이 사용하 ... 만들어 안전하고 편안한 공간을 만들었다.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훨씬 편리하고 편안한 삶을 살고자하는 소망이 재건축을 부추기고 있다 ... ...
- [Origin] 개를 위한 예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개들은 바닥에 놓인 그림 앞에 우두커니 앉아 그림을 바라보거나, 공이 담긴 그릇 안으로 뛰어 들었다. 물줄기에 흥분해 날뛰기도 했고, 화면 속 튀어 오르는 플라스틱 원반을 찾아 내려고 디스플레이 밑으로 코를 넣어 킁킁대기도 했다.이런 행동에서 과연 개가 예술을 감상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 ...
- [Origin] 인도 산림연구소대학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목재박물관, 곤충박물관 등 6개의 박물관이 있는데, 인도 전역의 숲이 100년 동안 어떻게 구성됐는지, 700년 된 히말라야삼나무의 단면은 어떻게 생겼는지를 직접 볼 수 있습니다.그리고 혹시 인도 영화를 좋아하는 분들은 영화 속에 나왔던 FRI 명소를 찾아보길 추천합니다. 2004년 제작된 호러영화 ... ...
- [Culture] 행복과 성공, 모두 얻는 법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하면서 행복해지는 이유는 간단하다. 마음을 비우고 잡생각을 버리면서 쓸데없는 불안과 걱정, 비교, 열등감 같은 부정적인 생각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나를 객관적으로 보게 돼 성공까지 이룰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이덕주_djlee@kaist.edu미국 스탠포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 ... ...
- 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녀는 잠수를 타거나 할 성격이 아니었다. 반짝거리는 머릿결, 뽀얀 피부는 고생 한 번 안 해본 듯한 인상이었지만, 묘하게 산전수전 다 겪은 이들에게서 풍겨져 나오는 분위기가 있었다. 과학수사관으로 7년째 일해온 내 직감이 ‘평범한 사건은 아니’라고 말하고 있었다.#310년 지기 친구 진원의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생김새를 추정하는 연구를 했습니다(doi:10.1371/journal.pgen.1002932). 카이저 교수는 두개안면기형에 관여하는 유전자(PRDM16, PAX3, TP63, C5orf50, COL17A1)가 이목구비를 결정한다고 생각했습니다.우선 1만5000명의 얼굴을 3D로 촬영한 사진으로부터 얼굴의 주요 8개 점의 정보를 얻었습니다. 그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래서 과학자들은 기생충 자체가 아닌 기생충의 단백질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 중이지만 기생충 자체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지금까지 진행된 소규모의 효과 검증이 아닌 대규모 임상 실험도 필요하다. 유 단장은 “학술적인 연구 성과와는 별개로 환자들이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