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밖에 정상 프리온이 감염 프리온의 형태로 변형되는 기전과 감염 프리온이 신경
세포
를 어떻게 죽이는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머지않아 세번째 노벨상 수상자가 탄생할지도 모를 일이다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쓸쓸히 내 컴퓨터 속에 저장돼 있는 굴드의 파일을 열었다.그리고 다음과 같이 썼다.‘암
세포
도 그의 열정과 재능을 가로막지 못했으니, 굴드, 멋진 인생을 살다 그토록 흠모하던 디마지오 곁으로 가다.’근대적 종합1900년대 초반 용불용설 등 진화에 관한 여러 이론들이 등장하면서 다윈의 자연선택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게놈 50개 이상이 모여야 하는 규모다. 설사 게놈을 합성했다 하더라도 이것이
세포
내에서 제대로 작동할지도 의문이다.197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해밀튼 스미스 박사는 벤터 박사와 함께 박테리오파지를 합성하는 동안 “70대인 자신과 60대인 허치슨 박사가 마치 갓 박사학위를 받은 ... ...
자생식물에서 B형 간염 치료성분 추출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유전자 재조합 쥐에게 투여했다. 두 동물 모두에서 e항원이 급격히 감소하고 e항체와 면역
세포
가 현저하게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 물질에 ‘화합물 M’이라는 이름을 붙였다.B형 간염 바이러스는 DNA가 2중의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다. 그 중 안쪽 껍질인 c항원은 바이러스가 복제할 때 ... ...
광우병 내성 소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미니돼지를 복제함으로써 감염이나 장기의 크기 문제를 해결했다. 거부반응은 돼지의
세포
에 인간면역억제유전자를 삽입해 차단했다.문제는 무균 돼지를 복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어떻게 해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지 아무도 알지 못한다는 점. 황 교수는“죽은 돼지들을 부검한 결과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버섯류의 몸을 이루고 있는 기본 구조체 팡이실이라고도 한다 가느다란
세포
가 길게 일렬로 연결된 것으로 곰팡이 종류에서는 여러 갈래로 갈라져 실처럼 엉켜 있다 가령 솜사탕을 연상해 보자 설탕을 재료로 하여 뽑아낸 가느다란 실을 이리저리 엉켜 놓은 것이 솜사탕이라는 하나의 덩어리를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흑인의 피부로 증식한다. 바시 교수는 “적어도 피부색 변이의 한 원인은 색소를 만드는
세포
가 근본적으로 다른데 있는 게 아니라 그 활동력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차이에서 비롯한다”고 설명한다. 피부색과 인종 연관 미미 이런 연구 결과는 다양한 피부색이 몇몇 유전자의 미세한 차이에서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경험하고 있는 인생은 절대로 돌이킬 수 없다. 우리는 우주에 살고 있으며, 우리의
세포
가 늙어가는 것도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현상인 것이다.이 3가지 시간의 방향은 모두 같다. 결국 ‘시공간에서 시간적으로 거꾸로 갈 수 있을까’에 대한 답은 일단 ‘아니다’라고 할 수밖에 없다.그렇다면 빛의 ... ...
인간과 기계 이어주는 신개념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성장을 자극하는 물질이 들어오면 신경
세포
가 유리용기 안에서 자란다. 몇주가 지나 신경
세포
들이 활동을 시작하면 뇌파가 발생한다. 전극이 이를 포착해 컴퓨터에 전달한다. 생각하면서 뇌파를 조절하는 훈련을 받은 환자는 컴퓨터 화면의 글자를 조합해 “목이 마르다” 또는 “당신과 이야기해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가속화되면서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의 서식 가능 영역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단
세포
원생동물인 말라리아는 크기가 고작 수㎛로 맨눈에 보이지도 않는다. 그러나 이 녀석은 모기와 인체를 오가며 자손을 퍼뜨리는 교활한 생존전략을 갖고 있다. 특히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모기는 말라리아에게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