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잠자리도 집중력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10억분의 1m)인 현미경을 이용해 잠자리의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머리카락 굵기보다 1/1500배 만큼 가는 신경 가닥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신경이 잠자리가 선택적 주의 능력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고 설명했다.코렐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스티븐 비더만 박사는 “잠자리가 눈으로 먹잇감을 ... ...
- ‘엄마 손은 약손’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손은 약손~”어렸을 때 갑자기 배가 아프거나 머리가 아플 때 이상하게도 ‘엄마손’이 만져 주면 아픈 것이 나아진 기억이 있을 것이다. 정말 ‘엄마손’은 약손일까.미국의 UCSF 연구진은 ‘부드러운 손길’의 비밀을 풀어 지난해 ‘네이처’ 12월 9일자에 발표했다. 유넝 잔 UCSF ...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한인 과학자가 이끈 국제 연구팀이 빛을 아주 작은 점에 집중시켜 태양 표면보다 100만 배나 높은 밀도로 모으는 데 성공했다. 광통신 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안겨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주혁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와 엘리 야블로노비치 UC버클리대 엘리 야블로노비치 교수 공동 ...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꼬리 끝까지 담겨 있는 신체의 비밀 때문이다.뱀의 커다란 입은 제 몸 크기의 네 배가 넘는 먹이도 거뜬히 삼킨다. 머리뼈와 턱뼈가 관절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유연한 근육과 인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단 먹이를 목구멍으로 넘기면 어깨뼈가 없기 때문에 먹이가 수월하게 소화기관으로 ...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1초밖에 안된다. 저자는 “원래 그냥 들어가면 0.1초 만에 죽는데, 0.1초를 더 사니 수명이 2배가 됐다”고 천연덕스럽게 말하지만, 그렇게 매력적으로 들리지는 않는다.언뜻 들으면 ‘썰’만 푸는 책이 아닐까 싶지만, 그렇지 않다. 모두 진지한 과학자가 진지하게 내놓은 해법들이다. 잡지처럼 톡톡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서는데, 퇴역 전투기의 제트엔진을 재활용해서 만든 특수차량이에요. 강한 바람이 6개 배출구로 나오면서 활주로에 쌓인 눈을 20∼30m 밖으로 날려버려요. 또 400∼500도에 이르는 고온으로 눈을 순식간에 증발시켜 제거하지요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각각의 유전자에 대한 후성유전학적 조절은 증명이 되고 있다.하지만 암이나 줄기세포, 배아 발달 등 단계에서 어떻게 다른 유전자들과 상호 작용하는지는 잘 모른다. 또 후성유전학을 일으키거나 인지하는 단백질은 소수인데, 어떻게 수많은 유전자와 전사체를 조절하는지도 미지수다.환자 맞춤형 ...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무슨 소리일까 궁금해 하며 살펴보던 순간, 한 가옥 안에 있는 나무 등줄기에 빨간 색 배를 드러낸 ‘오색딱따구리’ 한 마리가 연신 나무를 쪼아대고 있었다. 주로 농경지 주변의 나무나 촌락의 숲, 마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오색딱따구리는 가까이 접근하는 외지인을 본 체 만 체 열심히 나무를 ...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함께 호모 에렉투스에 포함됐습니다. 베이징인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두뇌 용량의 두 배에 이를 만큼 머리가 컸습니다(현대인의 약 3분의 2). 그래서 호모 에렉투스의 대표가 됐고, 중국 역시 이를 바탕으로 ‘최초의 직계 조상이 중국에서 나타났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습니다.그런데 문제가 ... ...
- 쓰나미 피해 키우는 건물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과학신문 ‘라이브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건물을 지을 때 바람이 흘러가도록 배치를 고려한다”며 “해안 건물도 유속을 고려해 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