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제트에 암모니아 성분이 있다는 사실을 ‘네이처’에
발표
했다.(doi:10.1038/nature08352) 암모니아는 마치 부동액처럼 용액의 어는점을 낮춰서 섭씨 영하 97도에도 액체 상태를 유지시킨다. 액체 상태의 용액과 유기물질이 존재한다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더욱 높다. 올해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팀이 펩티드가 칼슘맛 수용체와 결합해 코쿠미맛을 낸다는 연구 결과를 2015년
발표
한 바 있다(doi:10.1016/j.bbrc.2014.11.114). 연구팀은 펩티드가 칼슘맛 수용체에 붙어 쓴맛의 인지 과정을 방해하면서 훨씬 깊은 맛을 느끼게 만든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이를 이용해 소금(나트륨)을 적게 넣으면서도 짠맛은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유도만능줄기세포가 분화하는 과정을 보면서 병의 원인을 밝힐 수 있습니다. 2015년에
발표
된 플로라 바카리노 미국 예일대 교수팀의 자폐증 연구가 그중 하나입니다(doi:10.1016/j.cell.2015.06.034). 그전까지 자폐증은 뇌의 발달 과정 중에 이상이 생겨 발병하는 질환이라는 것 외에 원인이 명확하게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2016년 ‘소아간호학저널(Journal of Pediatric Nursing)’에 명상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
한 적이 있다. 국내 초등학생 42명에게 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마음빼기 명상’을 체험하게 한 뒤 침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를 측정한 결과 사회적인 불안, 공격성, 스트레스가 줄어든 것으로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수학소통강화 직무연수), 중등 수학과 1급 정교사 자격연수, 2016 수학탐구
발표
대회 지도전문성 신장 연수, 중등 교원능력개발 수학 수업지도 직무연수 등의 교원 연수가 이런 활기찬 수업을 시작하는 계기가 됐다고 한다. 이 교사는 바쁘거나 장소가 멀어도 기회가 될 때마다 연수에 참여했다. ... ...
[과학뉴스]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실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줄거나, 회전할 때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실을 개발해 ‘사이언스’ 8월 25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꼬아 코일 형태의 ‘트위스트론’ 실을 만들었다. 이 실은 지름이 60~7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로 머리카락보다 얇다. 스프링 구조를 갖고 있어 30%가량 ... ...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지방 대사 과정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1일자에
발표
했다. 이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내용과는 반대되는 것이다. 핵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과 결합한 뒤 DNA에 붙어서 유전자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손톱을 물어뜯거나 식사 뒤 꼭 커피를 마시는 등의 습관을 결정하는 건 한 종류의 세포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니콜 카라코스 미국 듀크대 신경 생물학과 교수팀은 기 ... 데에도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라이프’ 9월 5일자에
발표
됐다. doi:10.7554/eLife.2623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남녀 638명의 피부 수분과 유분을 측정해 ‘대한화장품학회지’ 2013년 39권 3호에 논문을
발표
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자 피부가 남자에 비해 볼 부위의 피부 수분 함량이 약 1.2배 많다. 김 교수는 “아직 그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면서도 “여성호르몬이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같은 문제 없이 살 수 있는지를 밝힌 논문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13일자에
발표
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는 셰르파들의 혈액 속에는 적혈구 수가 적은 대신 혈관 확장을 도와주는 산화질소(NO)의 농도가 높아서 산소를 공급하는 혈액 흐름을 빠르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