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입문제, 출제경향과 대책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앞으로의 대책을 강구해 보려고 한다.지금까지의 단원별 출제문항은 단원의 크기에 따라 둘 또는 세문항씩 출제돼 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수와 식,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이 대수부분으로 단원당 2, 3문제씩 출제되었다. 도형의 방정식 단원은 범위가 넓지 않은 단원인데도 평균적으로 세문제 ... ...
- 일찌감치 포기하려는 후배에게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우리가 시험볼 사람이 배짱도 좋게 미팅을 한다고 놀렸더니, 여학생 중에 수학과 학생이 둘이나 있다기에 나왔다는 거야. 우린 모두 웃을 수밖에 없었고, 미팅은 과외교습소로 변하고 말았지.그 시험을 잘 봤는지 모르겠지만 다음에도 종종 문제 풀어달라고 하기도 하고, 모르는 것 묻기도 하고, ...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과학동아 l1991년 02호
- 둔다. 즉 0+0=0 만일 둘중 하나만 꺾여져 있다면 해당되는 오른 손가락을 꺾는다. 1+0=0+1=1. 둘 모두가 꺾여져 있다면 그 윗 자리로 자릿수 올림(carry)이 발생하므로 그 발생된 자릿오름은 혓바닥을 내밀어 기억시켜둔다. 그 다음 자릿수 부터는 양손의 두 손가락과 혓바닥 세개의 2진수의 합으로 ...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과학동아 l1991년 02호
- 먹기'다(대학교수는 주당 12시간이 보통이지만, 전공이 세과목 이상 된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그러면서도 수학교사끼리의 연구협의체가 있다는 말을 아직 들어본 적이 없다. 연구수업 등 실무적인 협의나 연수말고는 말이다.'가르치는' 것은 '배우는' 것이다. 교사는 누구나 자신의 의도가 ... ...
- 2. PC에서 미디를 구현하려면 책상위의 작은 오케스트라과학동아 l1991년 02호
- 것을 도입하면 베를린 필하모니나 코리언심포니 부럽지 않은 오케스트라를 하나 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그럼 IBM PC에서 미디를 이용하여 음악기능을 확장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해 본다.PC에서 미디를 이용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시스템 전체를 일컬어 DTMS(Desk Top Music System) 라고 한다. 이것은 책상(desk ...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과학동아 l1991년 01호
- 퍼지나 NN은 앞으로 이러한 사회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는다. 이 둘을 묶는 퓨전이론이 더욱 널리 활용될 것도 불문가지다. 현재의 연구추세로 보아 퓨전이론은 빠른 시간내에 실행하기 다소 어려운 면도 있지만 특정분야에서는 어느 정도 기대를 해 보아도 좋을 것이다 ... ...
- 「정보화」의 두얼굴과학동아 l1991년 01호
- 운송에 큰 불편을 느끼지 않아 이들을 생산하기 위한 공장을 시장이 가까운 도시에 둘 필요가 없어진다. 더욱이 이러한 고부가가치상품의 생산 및 연구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높은 기술을 소지한 고급인력들이므로 복잡하고 환경이 좋지 않은 도시보다는 자연환경이 좋은 전원에 근무하는 것을 더욱 ... ...
- 1.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1991년 01호
- 그러던 것이 87년 이후 '팔란티어' 워드프로세서를 선두로 패키지 소프트웨어가 하나 둘씩 우리 앞에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했다.그러나 저작권법이 생겼다고 해서 하루 아침에 소프트웨어가 돈주고 사는 상품으로 여겨지게 된 것은 아니어서 팔란티어의 경우 대부분의 물량을 컴퓨터 메이커들이 ... ...
- PARTⅠ 대폭발로 시작된 우주 원자보다 작은 「우주 알」과학동아 l1991년 01호
- 과거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감에 따라 은하들이 접근은 하되, 은하들이 하나 둘씩 없어져야만 한다. 그리하여 밀도가 엄청나게 높아지거나 뜨거워져야 하는 일도 피할 수 있게 된다.BB(Bing Bang)냐 CC(Continuous Creation)냐 하는 문제는 한동안 천문학계의 커다란 논쟁거리였다. 결국 논쟁은 BB의 승리로 ...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과학동아 l1991년 01호
- 그것이 수소의 동위원소(isotope)인 중수소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냈다.그렇다면 어떻게 이 둘을 분리해 낼 수 있을까. 그는 이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꾸준히 연구, 마침내 분리를 해냈고 그 업적으로 노벨상을 탈 수 있었다. 무심코 넘겨 버릴 수도 있는 문제를 차분히 파헤쳐 대발견을 한 좋은 예라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