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남쪽하늘에 가장 높이 걸리는 현상)했던 별은 다음날 자정에 남중하지 않고 오른쪽
그림
에서처럼 반드시 서쪽으로 약 1°씩 치우치게 된다.이는 물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시간이 별이 아니라 해를 기준으로 정의돼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오’란 해가 하루 중 가장 높이 솟아 있는 ... ...
③ 망망한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 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되면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이 신비한 베일을 벗을지도 모른다. 나아가 외계인의
그림
자가 드러나지 않을까.당신의 화면보호기에 외계인의 신호가ET, 스타트렉, 스타워스 등의 SF영화를 보면 고등문명을 가진 다양한 외계인이 등장한다. 현실에서도 이런 영화에서처럼 쉽게 외계인을 만날 수 ... ...
'당신은 창의적인가' 진단기준 4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연주곡으로 만들어낸다. 화가들은 떠오르는 영감을 단지 스케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림
을 완성한다. 이들은 모두 깔끔하게 결과물을 마무리했다. 다시 말해서 정교성을 발휘한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과학자들도 새로운 이론을 만들 때 그 이론에 대한 증명을 하고 논리적으로 모순이 없도록 ... ...
세계는 지금 구제역 비상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3-8일 정도. 발병하면 가축의 입과 발굽 주위에 물집이 생기면서 여러 증상들이 나타난다(
그림
). 다행히 구제역에 걸린 가축의 치사율은 어리거나 늙은 동물을 제외하고는 매우 낮은 편이다. 건강한 가축은 마치 감기에 걸렸다가 자연히 회복되는 것과 같이 2-3주 후면 구제역에서 회복된다. 그러나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맞은편에 위치한 ‘동해도요’라는 곳을 찾아갔다. 물레로 도자기를 빚어보고 직접 글과
그림
을 그려 넣어 봤다.그러고 나니 벌써 점심시간. 점심을 먹고 유약의 성분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도자기의 색은 흙의 성분, 유약, 그리고 가마 속 온도 등 삼박자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유약 성분이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파란색과 빨간색이 사물의 테두리에 겹쳐 나타난다. 이것이 바로 애너글리프 사진이다(
그림
1).완성된 애너글리프 사진은 왼쪽이 빨강, 오른쪽이 파랑인 안경을 통해 본다. 그러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왜 그럴까. 이유는 빨간 안경은 빨간색을, 파란 안경은 파란색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동식물 같은 고등 진핵 생명체의 중간 정도로 분류할 수 있는 독특한 부류의 생명체다(
그림
). 고세균은 생명체가 도저히 살 수 없다고 여기기 쉬운 극한 환경에서 대부분 발견되는데, 이들은 가히 극한 환경의 군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현재까지 실험실에서 배양에 성공한 고온성 고세균 중에서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반대 방향의 힘을 동시에 받는 셈이고 따라서 몸이‘짜부라지는’느낌을 받게 됩니다(
그림
1). 즉 우리는 엄밀히 말해서 중력 자체를 느끼는 것이 아니라 중력과 수직항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짜부라지는 느낌을 받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유낙하 운동을 하면 우리 몸이 ... ...
자정 결투장면에 뜬 초승달이 엉터리인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달이 뜨고 지는 일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오늘 초저녁 남쪽 하늘에 달이
그림
처럼 떠 있었다. 문제(1)-(3)의 정답을 보기에서 고르시오.(1) 오늘 자정 달의 위치는? ( )(2) 4일 전 초저녁 달의 위치는? ( )(3) 4일 후 초저녁 달의 위치는? ( )I 정답 해설 I지난호에서 지구는 1시간에 약 15°를 ...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15세기 이탈리아의 천재적인 미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과학적인 측면에서 흥미로운
그림
들을 많이 남겼다. 바로 하늘을 나는 새를 관찰하고 설계한 비행기 도면이다. 다빈치의 설계 도면은 비행기와 헬리콥터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고 한다.우리나라의 이순신 장군은 거북을 모방해 만든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