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테
상황
형편
입장
현상
분위기
컨디션
스페셜
"
상태
"(으)로 총 3,182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파동의 간섭무늬를 보인다. 위에서 7번째 사진이 슬릿 두 개가 가리개 창 가운데 놓인
상태
에서 전자가 검출된 경우로 가장 완벽한 파동성을 보인다. 그 뒤 가리개가 이동하면서 슬릿1이 닫히자 다시 입자로도 설명할 수 있는 연속적인 분포패턴이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다음으로 전자총의 세기를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는지 알아본 것이다. 비만이 되면 간과 지방조직이 정도는 약하지만 만성인 염증
상태
가 되게 하고 그 결과 세포가 호르몬의 조절작용을 잘 따르지 않게 돼 증상이 악화된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암렉사녹스는 오래 사용된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라며 “비만과 당뇨 치료제로 재활용될 좋은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차지하는 경쟁에서 밀릴 것이므로 포기를 하고 대신 암컷 새끼가 짝짓기를 할 수 있는 몸
상태
를 만들어 주면 자손을 이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트리버스-윌라드 가설을 증명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됐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모유의 성분이다. 한 번에 새끼 한 마리만 낳을 경우 새끼의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열폭풍이 불어왔기 때문에 쓰러지지 않은 것. 대신 곁가지들은 충격으로 다 잘려 나간
상태
였고 열기로 나무가 타 멀리서보면 마치 전봇대가 촘촘히 박혀있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1945년 히로시마 원폭 현장에서도 그라운드 제로 지점의 나무들은 전봇대처럼 서 있었다고 한다.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당시 동물이나 식물과는 달리 미생물은 마땅한 분류기준이 없어 분류에 애를 먹고 있는
상태
였다. 우즈는 단백질공장인 리보솜을 이루는 생체분자인 리보솜RNA에서 돌연변이가 제멋대로 일어날 수 없고(생명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천천히 일어난다고 보고 각 종의 리보솜RNA 염기서열을 비교해서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다. 다만 헤마글루티닌이나 뉴라미니다제에 비해 숫자가 적고 덜 노출돼 있어 자연
상태
에서는 항원이 되지 못했던 것. 그렇다면 면역계가 M2단백질을 항원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만들게 유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피어스 교수팀은 당시 알려진 흥미로운 현상을 이용하기로 했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어바인)에 합류했다. 롤런드는 원자핵반응이나 방사성붕괴 같은 매우 높은 들뜬
상태
에서 원자반응을 연구하는 핫아톰(hot-atom)화학을 연구했는데 1970년대부터 대기화학으로 관심이 옮아갔다. 당시 캘리포니아는 대기오염이 극심해 세계의 스모그 수도로 불릴 정도였다. 1972년 한 학회에서 롤런드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때 기본 골격이 됐다. 앞에서 소개한 2002년 논문도 게놈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
에서 비교의 위험성을 지적한 것이다. 즉 유전자의 염기서열만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것. 최근 인간 게놈 전체의 기능을 규명하는 엔코드(Encode) 프로젝트의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네이처’ 9월 6일자,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제안했다. 세이어는 결정이 서로 떨어져 있는 작은 점 같은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
라고 보고 이를 바탕으로 결정 회절 패턴을 해석하는 ‘사이어 방정식’을 유도해냈다. 1985년 노벨화학상은 세이어와 비슷한 방식으로 결정구조를 해석하는 방법을 개발한 과학자 두 명에서 돌아갔는데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만 봐도 그렇다. 연구자들은 현재 빵밀 유전자의 3분의 2 정도만 그 뿌리를 찾아놓은
상태
다(A타입인지 B타입인지 D타입인지). 밀 게놈 완전 해독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인류는 병과 식물들을 작물화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정착했고 문명을 꽃피웠다. 대표적인 벼과 식물의 개통수에 밀의 작물화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