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손님 차별? 사람따라 깎아주는 할인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접하는 ‘윈도우’도 마찬가지다. 윈도우7의 경우 ‘홈스타터’부터 ‘얼티메이트’까지 총 6가지 버전으로 나뉘어 있다. 얼티메이트에 가까울수록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가격이 비싸진다. 어떤 사람이 고사양의 운영 체제를 사용할지 구분하기 어렵기 ... ...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존재할 수 있다(최근 박쥐에서 H17, H18이 새롭게 발견됐다). 예컨대, 조류독감은 H5 또는 H7 단백질을 갖는다. 매년 사람에게 계절성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H1N1과 H3N2다. B형 바이러스는 뚜렷이 구분되는 아형은 없는데, 항원 단백질 염기서열의 미세한 차이에 따라 빅토리아와 야마가타 등 ... ...
- 슈퍼엘니뇨, 남극의 해빙을 없애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6일 남극의 해빙 면적이 1883만km2로 올해 중 가장 넓었지만 작년 최대 면적보다는 133만km2(7%) 줄었다고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NASA는 1년 중 해빙 면적이 가장 넓어지는 시기도 평균(9월 23일)보다 2주 가량 늦어졌다고 설명했다.NASA는 지구온난화로 엘니뇨가 극심해지면서 남극 서쪽에 있는 ... ...
- 까마귀끼리 돕고 살아야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까마귀가 서로 협력할 줄 아는 똑똑한 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동물들의 협력실험은 그동안 침팬지나 코끼리 등 주로 복잡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진 포유류를 대상 ... 특성인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월 7일자에 실렸다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근친결혼이 많았던 여러 고대 왕조의 멸망 원인으로도 꼽힌다.최연호 박사는 “2007년쯤부터 이런 문제점이 인식되고 근친교배를 줄이는 방향으로 육종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아직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몇 년 전 전국을 강타했던 구제역이 바로 질병저항성이 떨어진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다.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우 대학입학시험을 일년에 한번만 치르는 반면 SAT는 일년에 7번 정도 시행된다. 그 중 가장 잘 나온 점수를 제출하면 된다. SAT는 크게 논리력 시험과 과목별 시험으로 나눠져 있다. 일반적으로 SAT라고 하면 논리력 시험을 의미하는것으로, 논리력 시험은 핵심 독해, 수학,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2011년 1088억 원에서 2015년 1455억 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내연기관 과제에 지원되는 돈은 167억 원에서 50억 원으로 4년새 70%나 줄었다. 전체 예산의 69%인 1006억 원이 자동차 부품 품질인증센터 구축 등 지역자동차 사업에 들어간 것에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액수다.민 교수는 “클린 디젤의 조건을 ... ...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유연성이 좋아 마음대로 구부리거나 늘릴 수도 있답니다. 또 해상도가 최신 스마트폰의 4~7배, 고해상도 텔레비전의 42배나 되지요.연구팀은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를 사용해 이 디스플레이를 만들었어요. 양자점이란 지름이 수십 nm(나노미터, 1m의 10억분의 1) 이하인 반도체 결정이에요. QLED는 이 ...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들어왔어요. 이곳이 바로 국내 유일의 과학공학기구관, ‘어메이징파크’예요.지난해 7월 경기 포천시에 문을 연 어메이징파크는 모든 전시물들이 기계의 원리를 배울 수 있도록 구성돼 있어요. 기계를 구성하는 기구들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며 어떻게 기계를 움직이는지 직접 조작해 보며 눈으로 ...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마치 암호처럼 보이는 알파벳과 숫자가 있어요. 지도의 여백한 구석에 ‘NJ 52-10-27’이라고 쓰여 있는 이것은 ‘도엽번호’라고 불러요. 지도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것이지요. 도엽번호에 담긴 알파벳과 숫자는 각각 어떤 뜻을 담고 있을까요? 이런 방법으로 지표면을 나누면 빠지는 곳이나 겹치는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