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지요.‘더울 열(熱)’은 ‘재주 예(埶)’에 ‘불 화(灬)’가 더해진 한자예요. ‘재주 예(埶)’는 ‘힘찬 기운’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어서 ‘더울 열(熱)’은 ‘불기운이 강하다’라는 의미로 쓰이지요. 한편 ‘띠 대(帶)’는 헝겊을 나타내는 ‘수건 건(巾)’위에 화려한 ... ...
- Intro. 진도 앞바다는 보물천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벽파진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13척의 배로 133척의 왜군을 물리친 명량대첩이 벌어진 현장이에요. 이 때문에 당시 전쟁에 사용했던 칼과 대포는 물론, 거북선이나 왜군의 배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높지요. 만약 거북선이나 왜군의 배를 발굴하게 되면 최초의 조선시대 *전함 유물로, 역사적인 ... ...
- Part 4. 누리안호를 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또 외국에서도 수중 탐사로봇이 활약하고 있답니다.Q. 거북선을 정말 찾을 수 있을까요?진도 앞바다 수중 유물 발굴 현장은 벽파항이나 울돌목과 가까워 거북선이나 왜선이 침몰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그래서 수중발굴단은 거북선을 찾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지요.물론 이곳은 거북선만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양성자 치료 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어디에서 온 건가요?”박규준 기자의 질문에 연구원님은 ‘사이클로트론’에서 만들어진 거라고 설명해 주셨어요. 사이클로트론은 양성자선을 만드는 가속기예요. 사이클로트론에 수소원자의 양성자를 넣고 빛 속도의 60%(1초에 지구를 4.5번 돌 수 있는 속도)로 가속시키면 에너지 형태의 ... ...
- Part 1. 때와 장소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해요. 하지만 바닷속에 들어가도 눈으로 유물을 찾기는 어려워요. 유물은 바다에 빠진 뒤 시간이 지나면서 그 위로 흙이 층층이 쌓여 땅 속에 묻히거든요. 그래서 음파와 자기장을 이용한 장비나 금속 탐지기를 이용해 바다 밑 땅 속에 숨어 있는 유물을 찾는답니다 ... ...
- Part 3. 유물에서 역사를 읽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뒤에도 소금기에 의해 유물이 쉽게 부식되거나 망가질 수 있거든요.그래서 바다에서 건진 유물은 우선 증류수가 가득한 수조에 담가요. 바닷물의 염도는 1만 8000ppm 정도예요. 수돗물은 100ppm 미만, 증류수는 5ppm 미만이지요. 유물을 담가 둔 물의 염도가 수돗물 수준이 되면 탈염이 완성돼요.탈염을 ... ...
- [과학뉴스] 금화조는 알에게 노래로 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새끼의 몸무게를 분석했지요.그 결과, 주변 온도가 높을수록 새끼의 몸무게가 가벼워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반대로 부모의 노래 없이 인공적으로 부화한 새끼들은 온도와 상관없이 무겁게 태어났어요. 즉, 더울 땐 몸무게를 늘리지 말라고 부모가 노래를 불러 준 거예요.일리 : 나에게도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파전 달인 '안타나 잘디지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있어야 비법을알려 줄 테야!”드디어 무늬에 맞게 파전을 완성한 썰렁홈즈. 이제 진짜 비법을 알려 주려나 기대하고 있던 그때! ‘안타나 잘디지브’는 썰렁홈즈에게 빈 접시를 주며 말했다. “추석 명절 파전은 자고로 다 함께 나눠 먹어야 제맛! 비법을 배우려면 나누는 기쁨부터 알아야지. 여기 ... ...
- [쇼킹 사이언스] 지구의 푸른 보석, 블루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동물의 뼈가 그대로 보존돼 있기도 하고요. 따라서 지질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겐 멋진 연구장소가 된답니다.하지만 블루홀 안으로 들어가는 일은 쉽지 않아요. 블루홀 안쪽에선 힘이 센 물살을 이겨내야 하거든요. 따라서 현지에서도 블루홀엔 아무나 들어갈 수 없도록 통제하고 있답니다 ...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게 좋지요. 또 풀숲으로 들어가기 전에 지팡이로 땅을 치며 주변을 한 바퀴 돌면 독사가 진동을 느끼고 도망가기 때문에 미리 피할 수 있답니다.이 외에 광릉숲에서 사는 누룩뱀, 구렁이, 무자치, 능구렁이는 독이 없고 온순해요. 하지만 언뜻 보면 무슨 뱀인지 판단하기 어려워요. 따라서 뱀에 물렸을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