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가장 큰 것은 물론, 둥지의 크기도 270㎝로 세계적인 규모입니다. 게다가 한반도 서남부
지역
최초로 육식 공룡의 알이 발견된 것이기 때문에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 화석이지요. 그 동안 한반도에서는 주로 초식 공룡인 조각류와 용각류의 공룡알 화석이 발견되었답니다. 이번에 발견된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붙이면 ‘인도-아라비아 위치적 십진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인도는 이 수 체계가 생긴
지역
이다. 고대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인 인더스 문명에서 만들어진 숫자는 500년경에 위치에 따라 숫자의 값이 결정되는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204와 24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리가 ... ...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마음을 나타낸 것이지요. 그림에서 사람과 사물을 특이하게 표현한 예는 다른 시대, 다른
지역
에서도 볼 수 있어요. 지금부터 2400년 전 이집트 테베의 무덤 벽화(➎)에는 한가로운 정원 풍경이 그려져 있어요. 이 그림은 연못에서 사냥을 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죽은 뒤 풍요롭게 살고 싶은 소망을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회화에 푹 빠진 송버터 씨는 미국 뉴스를 듣다가 깜짝 놀랐다. 에스키모인이 사는 북극
지역
의 5월 초 온도가 35도를 넘었다는 것이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고온 현상이 나타났다고 한다. 아무리 온난화가 심각하다지만 북극이 35도를 넘다니! 버터 씨의 영어 실력이 부족한 건 아닐까? 아니면 미국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연구 결과도 발표됐다.‘사이언스’1월 5일자에 발표된 이 논문에 따르면 호주
지역
에서 살던 거대 포유류가 소빙하기를 거치며 대부분 환경에‘적응’했지만 인간이 거대 포유류 새끼를 사냥하기 시작하면서 5만년 전~4만 년 전 빠르게 멸종했다는 것. 이에 대해 질 교수는“인간 활동이 거대 ... ...
소리보다 빠른 스카이다이빙 성공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특히 낙하할 때 통과해야 하는 지상 2만 5000m 상공은 지구에서 오존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이다.피가 쏠리면서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정신을 잃을 수도 있다. 1만 8000km 상공을 통과할 때쯤에는 몸이 초당 120회나 빙글빙글 돈다. 이 상태는 지상에서 약 1.6km 떨어진 상공에서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산림청은 지난해 우리나라 최대의 금강소나무 군락지로 유명한 경북 울진 소광리
지역
에 ‘금강소나무숲길’ 20km를 조성했다. 지리산 외곽에도 50km의 숲길을 추가로 개통했다. 전체 구간이 완성되면 전국 어디에서나 누구나 걸어서 백두대간까지 갈 수 있는 시대가 열린다. 글 박근태 기자 kunta@donga ... ...
전공에 맞는 일관성 있는 활동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 학생에게 어버이날 동네 노인잔치에서 효도공연을 해보라고 권유했다. 또 명절마다
지역
상권을 돌면서 불우이웃과 독거노인 돕기 성금을 걷어서 기증할 것을 제안했다. 대화를 나누는 학생의 눈빛은 진지했고 열정으로 가득 차 반짝였다. 이처럼 봉사란 누군가 기회를 줘야 하는 것이 아니다. ... ...
이공계 진학의 새 길, 과학중점학교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지원하더라도 탈락하면 과학중점학교에 지원할 수 있다. 비평준화
지역
은 해당
지역
의 고교 선발기준에 따라 학생을 선발한다. 대학 진학에 유리한 점 그렇다면 과학중점학교 진학이 어떤 점에서 유리할까. 현재 고등학교 3년간 전 과목 대비 과학·수학 과목 이수 비율은 과학고, 과학영재학교의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부르는 물고기’라는 별명이 붙었다.국내에서도 2월 초 산갈치가 발견된 직후 수도권
지역
에 작은 지진이 일어났다. 입소문 빠른 네티즌들은 산갈치가 지진의 징조를 느껴 뭍으로 올라온 것이 아니냐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이해원 연구사는“산갈치가 지진을 미리 알린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