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순풍
욕구
소원
바람구멍
구멍
구녕
d라이브러리
"
바람
"(으)로 총 3,467건 검색되었습니다.
3. 최신 전자악기 총집합 디지털의 명연주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연주하면 그 음이 미디신호로 전달되어 다른 음원을 연주한다. 즉 입으로 불어서 그
바람
으로 음량을 조절하고 손가락이 누른 위치로 음높이를 결정한다. 이것도 역시 섹스폰 등 관악기에 익숙한 사람이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전자드럼을 보면 드럼을 치는 위치에 드럼통 대신 고무판을 장치하고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만들어서 쇳조각으로 안팎을 둘러쌌으며, 배위에 수십개의 돛대를 세우고 선미(船尾)에
바람
을 내는 기계를 설치했다. 그들은 쇠사슬 수백개를 꼬아 닻줄로 사용했다. 쇠사슬을 하나로 모아서 닻줄을 만들었기 때문에 풍랑을 만나도 파선되지 않는다."서양 사람을 이렇게 묘사한 부분도 있다."그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부모님들에게 자코비니 유성우를 실감나게 선전했다가 유성우가 나타나지 않는
바람
에 졸지에 '실없는 사람'이 돼버렸다. 그후 그분은 여자 친구와 헤어지게 되는 비운을 맛보기도 했다.KAAA는 그 후 몇 년간을 학생과학에 근무하던 윤실씨(현 Korea Times 근무)의 배려로 겨우 명맥만 유지하게 됐다.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아니 학생 자신도 인정하고 있다.얼마전 국민학교에 '집합'을 중심으로 한 '새수학'
바람
이 불어, 이 때문에 엄청난 시행착오를 겪었던 일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 '새수학'을 일선교사에게 이해시키느라고 문교부는 막대한 재정과 시간을 들여 강습회 등을 여는 등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뿐만 아니라 나일강은 완벽한 고속도로구실을 했다. 강물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고
바람
은 북에서 남으로 쉴새없이 불었다. 돛을 올리면 배는 남쪽으로 순항할 수 있었고 돛을 내리면 물결은 그들을 다시 북으로 운반하여 주었다. 또한 태풍도 일지 않았으며 나일강은 언제나 평온하기만 했다.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기념비나 송덕비 등은 대개 도시나 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비석이 오래 되면 비
바람
에 씻기고 거기에 이끼가 끼게 된다.일본의 환경연구기관은 최근 이 이끼의 상태가 대기오염의 정도에 따라 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실제로 이끼를 대기오염의 지표로 삼는 연구가 일본에서 진행되고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는 물 모두가 같은 물이지만 물과 안개의 밀도차이에 의해 경계면이 형성되며
바람
이 불면 물안개만이 이동한다.이 원리를 이용하여 (그림3)의 비상정지 개념을 설명해 보자. 수조내의 냉각수는 50℃이고, 1차계통은 2백50℃이면 1차계통은 물안개에 해당하여 정상시는 펌프로 1차계통수만의 순환이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대량생산하게 되면 식품첨가물 냉동산업 레저산업(스키장의 인공눈)에 새로운
바람
을 불러 일으킬 것이다.콩의 증산을 돕는 미생물비료제도 개발해냈다(민태익 유익동박사팀). 콩을 파종할 때 종자에 이 미생물비료제를 접종해 주면 콩 수확량이 약 10%증가된다고 한다. 게다가 이 비료를 사용하면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다. 복제생쥐가 등장해암수개체를 달리하고 있는 식물은 벌이나 나비같은 곤충 또는
바람
의 매개물 등을 통해 수분이 이루어져 씨앗을 맺고 자손을 남기고 있다. 이같은 수정 방법 외에도 식물은 삽목(꺾꽂이) 취목(휘묻이) 분주(分株) 등의 방법으로 복제돼 한 그루가 많은 복제그루로 될 수 있다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분리될 수 없다. 전자공학의 발달과 컴퓨터의 등장은 제어계측 분야에도 '자동화'의
바람
을 몰고와 이제 모태인 기초공학보다 더 방대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흔히 제어계측학과를 '로봇 만드는 과'로 이해하는데 이는 자동화를 담당하는 도구가 산업로봇 등이어서 생겨난 말이다. 실제로 교과과정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