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CERN)의 대형강입자충돌가속기(LHC)에서 초대칭 이론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최근 가능성이 낮아졌다.현재 필자가 몸 담고 있는 연구단을 비롯해 전세계 다양한 연구그룹이 윔프와 액시온을 직접 검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암흑물질이 끝끝내 검출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 같은 노력의 결과로 ... ...
- Part 6. 특이점 없애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은 이런 미시세계와 거시세계가 얽히면서 나온 결과물일 가능성이 크다. 공간 성분과 시간 성분의 미세한 요동들이 거시적인 공간에서 각각 척력(암흑에너지)과 인력(암흑물질)으로 작용하는 것이다.물론 아직 갈 길은 멀다. 한 가지 희망적인 사실은, 아인슈타인이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비행기구름이 안 생기게 하거나 이미 생긴 비행기구름을 지우는 방법을 찾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면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연료를 사용하거나, 기존 9~10km보다 낮은 6km 정도의 고도에서도 대형 비행기가 다닐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와일드 교수는 “지금은 ...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의미하는지는 아직 미지수다. 구세계원숭이나 유인원과는 동성애의 사회적 역할이 다를 가능성이 크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유인원, 구세계원숭이 순으로 자주 관찰돼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영장류 사회에서 동성애가 관찰될까. 전세계적으로 영장류는 300여 종이 있다. 모두 영장목(目)에 ... ...
- Part 3. 자기장과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데 성공했답니다.나카타 박사는 “일상 진동은 정보의 양이 많아서 더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며, “더 넓고 깊은 구역까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X-파일Part 1. 지구 속 탐사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Part 3. 자기장과 진동Part 4. 맨틀 속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발전소를 우주에 띄워 빛을 전력으로 바꾸고, 무선으로 지구까지 전달하는 것도 가능할까요? 달에 태양광 발전소를 세워 지구에 전력을 보내는 방법도 있겠지요. 실제로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는 태양광 발전입니다.지상에서는 태양 에너지를 받는 시간과 받지 못하는 시간이 ...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행성의 평균 온도가 높아(1926℃ 이상) 철이 녹아 광물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관측된 아름다운 행성의 모습도 이를 뒷받침해준다.논문의 제1저자인 암스트롱 연구원은 “태양계 바깥의 거대한 가스 행성에서 날씨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대상으로 AI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AI에 감염된 고기가 식탁에 오를 가능성은 낮다. 게다가 약 70℃에서는 30분 이상, 약 75℃에서는 5분 동안 가열하면 바이러스가 모두 죽는다. 치킨이나 오리구이, 달걀프라이처럼 가열한 음식은 대부분 안전하다.감염된 조류는 살처분, 미리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3진법과 그이상의 n진법이 각광받기 시작했다. ‘가성비’ 좋은 3진법, 현재로서는 가장 가능성 높아1파트에서 확인했듯 3진법 소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소자만 개발된다고 모든 문제가 끝나는 것일까. 하드웨어가 마련됐다고 컴퓨터가 저절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듯, 3진법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움직임도 분명히 있습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고자 연구자들은 셀의 크기를 가능한 작게 만듭니다. 권 선임연구원의 경우 셀의 크기를 사람이 독립적으로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인 0.25m2(0.5m×0.5m)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권 선임연구원은 “셀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건 그만큼 많은 사람의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