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술 없이 초음파로 뇌암 치료 효과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뇌암 부위에 초음파를 집속해 뇌혈관장벽을 열자, 투약된 항암제가 뇌암 부위에 3배가량 잘 전달된 사실이 확인됐다.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 ...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약리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약물
조절
저널(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8일자에 게재됐다 ... ...
노화 세포 되돌리는 ‘회춘 약’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오토파지 기능 저하의 원인이이라는 노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ATM 활성을
조절
하기 위한 여러 약물들을 살피던 중 ‘KU-60019’라는 물질이 리소좀을 제어해 세포분열 능력을 회복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쥐의 피부에 이 약물을 적용한 결과 상처 회복이 빨라진다는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
2017.03.25
업무처리 능력, 논리적 사고력 등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잠이 모자라면 ‘감정’
조절
도 잘 안되서 작은 일에 화를 내게 되거나 급 기분이 나빠지는 등 기분이 롤러코스터를 타는 현상도 더 잘 나타난다. 쉽게 폭발하고 왔다갔다 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끼치게 될 지도 모르겠다. ... ...
스스로 삭발한 20대 영국 여성, 장애와 맞서다
팝뉴스
l
2017.03.25
발모증 혹은 발모벽이라는 장애를 앓고 있습니다. 스스로 머리를 뜯게 되는 장애죠.
조절
할 수 없는 충동 때문에 스스로 머리를 쥐어 뜨기 시작한 것은 11살 부터였지만 발모증으로 진단을 받은 것으로 18살 때였다고 합니다. 삭발을 하면 뜯을 모발이 없어집니다. 레베카 브라운은 스스로에게 가하는 ... ...
엄마 얼굴 쏙 빼닮았는데… 관상-성격은 왜 다르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3.24
실렸다. 콧구멍은 숨이 드나드는 통로인 동시에 몸속에 들어오는 공기의 온·습도를
조절
해 폐 등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다양한 국가 출신 참가자 470명의 거주 지역 기후와 코 형상을 비교해 춥고 건조한 지역 사람은 콧구멍이 작고, 덥고 습한 지역 사람은 콧구멍이 큰 경향이 ... ...
[카드뉴스]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
동아사이언스
l
2017.03.21
특히 청소년 성범죄는 사회의 남녀차별이 심할수록 증가합니다. "중2병이 너무 심해져도
조절
과 통제보다는 취미 생활로 자연스럽게 욕구를 풀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 - 김영화 원장 "공감과 소통이 중요해요.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어른이 있어야 합니다." - 장근영 연구원 중2병으로 대표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높고 24시간 굶을 경우 체온이 무려 7.3도나 떨어진다. 비만인 동물이나 사람에서 체온
조절
에 이상이 있다는 보고가 많은데 렙틴과 우리딘 회로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즉 영양을 충분히 섭취했음에도 혈중 우리딘의 수치가 신속히 떨어지지 않으면 대사율이 올라가지 않아 체온이 빨리 회복이 ... ...
[뉴스분석] 북한 개발했다는 ICBM 엔진은 어떤 성능?
동아사이언스
l
2017.03.20
방식’은 주로 구형 발사체에 자주 쓰인다. 최신형 엔진에는 엔진 분사구의 방향 자체를
조절
하는 ‘김발’ 방식을 자주 이용한다. 발사체 전문가는 “북한이 발사체 개발 과정에서 참고한 기본 엔진이 구형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을 것”이라며 “여러개의 작은 보조엔진 중 하나만 문제가 ... ...
움직임 포착하면 밝아지는 ‘가로등, 소음 상쇄’…우리 사회 지킬 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7.03.20
상황인식형 조광기술'은 가로수가 주변 상황을 인식해 자동으로 빛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
하는 기술이다. 평소에는 조명을 낮춰 생체리듬을 깨트리는 빛 공해를 줄이지만 수상한 움직임이일어나면 조명을 키워 범죄를 예방한다. '능동제어형 소음 저감 기술'은 지하철, 공항, 고속도로 등에서 소음 ... ...
국내 최연소로 ‘노벨상 펀드’ 받는 김성연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3.20
김 교수는 뇌 과학 분야 석학들의 지도를 받으며 실력을 키웠다. 빛으로 뇌 반응을
조절
하는 ‘광(光)유전학’ 기술을 선도한 칼 다이서로스 스탠퍼드대 교수, 뇌를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한 정광훈 MIT 교수가 모두 그의 지도 교수다. 김 교수는 “뇌를 연구하고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