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모든것"(으)로 총 3,3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토요일을 달구는 인라인 열기 속으로....기사 l20141108
- 8월 28일에 ‘2학기 신나는 생활 체육 학교’ 무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가정 통신문이 인터넷에 올랐다면서 어머니께서 그동안 못 배운 인라인을 배워보면 어떻겠냐고 물어보셨어요. 1~6학년까지 15명 내외라는 어머니의 말씀에 6학년 졸업 전에 토요일 아침마다 동생과 인라인을 함께 배울 기회가 주어진다면 좋겠다는 생각에 선뜻 “좋다”고 대답을 했어요. 워낙 ...
- 우리 학교에 합창단이 생겼어요!!!기사 l20141028
- 우리학교에 합창단이 새로 생겨서 오디션이 있다는 유인물을 9월 말에 받았습니다. 또, 음악시간에 새로 오신 음악 선생님께서 합창단에 많은 친구들이 신청하면 좋겠다고 말씀을 하셔서 꼭 오디션을 보고 싶다고 결심했습니다. 모든 합창단을 지원하는 학우들은 10월1일과 2일 이틀에 걸쳐서 “도”에서 높은 “솔”까지 부르는 것과 자유곡 부 ...
-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 평창의 2박3일기사 l20141022
- 광릉 수목원에서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에 대한 설명을 마지막으로 듣고, 청소년총회에서 내가 꼭 ‘기조연설’을 하고 싶다는 생각에 여러 가지 책도 읽고 인터넷도 열심히 뒤적이면서 일주일을 긴장하고 지냈어요.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은 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 ...
- 우리모두 생물다양성의 소중함을 느껴요 ‘2014 UN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 보고서기사 l20141022
- “1920년대 미국의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는 인간과 가축을 위협하는 회색늑대 10만여 마리를 사살하여 전멸시켰다. 회색늑대의 전멸로 평화가 찾아왔지만 나무들이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했다. 1995년, 다시 회색늑대 31마리를 캐나다에서 공수해 방사하였다. 그러자 초식동물들은 예전처럼 여유있게 나무를 뜯어먹지 못하게 되어 곧 숲은 울창해졌다. 숲이 되살아나자 ...
- 2014 한 문화재 한 지킴이 전국대회 에 다녀와서기사 l20141021
- 오늘은 한 문화재 한 지킴이 전국대회를 청소년 문화재 지킴이 기자단자격으로 참여하려 갔다. 한 문화재 한 지킴이 대회는 전국에 있는 지킴이들이 한 자리에 모여서 그 동안 한 일을 사진, 동영상, 현장에 있는 부스를 이용해 발표하고 공유하는 것이다. 이번 한 문화재 한 지킴이 대회에서는 맨 처음 한 문화재 한 지킴이 활동을 시작한 안동에서 진 ...
- 진정한 문화재 지킴이란!기사 l20141020
- 10월 18일~19일 안동에서 열리는 2014년 문화재 지킴이 전국대회에 다녀왔습니다.새롭게 알게 된것은 전국에 우리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해서 애쓰는 분들이 많다는 것이였어요.이렇게 중요한 행사에 문화재지킴이 300명이 초대되었는데 책자 명단에 우리들이 있다는 것도 정말 신기했어요.1일차 행사에는 개막공연, 개회식, 시상식, 활동사례 발표, 축하공연, 지킴 ...
- 문화가 살아숨쉬는 그 곳! 안동 문화지킴이 축제기사 l20141019
- 문화가 살아숨쉬는 경상북도 안동의 국학문화회관으로 2014년한 문화재 한 지킴이 전국대회로 1박2일동안 취재를 다녀왔습니다. 청소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으로서 매우 큰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 설레고 기대되어 잠을 설쳤습니다. 이번 문화재지킴이 대회에서는 나선화 문화재청장님, 김광림 국회의원님, 김호태 안동문화지킴이 대표님과 권영세 안동시장님외에 귀한 분 ...
-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 준비단계기사 l20141019
- 2014년 9월29일부터 10월17일까지 강원도 평창에서 ‘제 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가 있었어요. 그 총회를 맞이해서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가 10월3일에서 10월5일까지 열렸지요. 저는 어린이과학 동아의 기자 자격으로 장학생으로 뽑혀서 청소년 총회에 참석했어요. 우선 모두 ‘생물다양성협약’이란 무엇인지 궁금하실 것 같아요. 생물다양성협 ...
- 문화재를 지키는 방법 _임재해 교수님 특강 중에서 1.문화는 주인이 없다. 지키는 사포스팅 l20141018
- 문화재를 지키는 방법 _임재해 교수님 특강 중에서 1.문화는 주인이 없다. 지키는 사람이 주인이다!! 2. 잘 지키려면? 알아야 지킬 수있다. 3. 공부를 해야 알고 그 최선은 현장이다. 문화 현장이 체험이 최고의 공부다. 4. 그리고 공부한 후에는 남주자~ 5. 우물안의 개구리가 되자. 우리 것을 확실히 알자. 지역의 지식이 세계지식이다 !! 모든 공부는 ...
- 3억 3500만 명의 언어, 영어 영어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141015
- 동아사이언스 여러분 안녕하세요? 김일권 기자입니다. 이번, 영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어는 몇 명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일까요? 영어는 약 3억 3500만명이 쓰는 문자이며, 세계 3위로 많이 쓰는 언어입니다. 영국으로부터 미국 등 여러 나라로 퍼져 나아가 있으며 거의 모든 나라가 쓰고 있지요. 그런데 왜 영어를 쓰는 나라는 무수히 많은데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