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How a Sugar Pill Can Heal You?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Check Point 최근한 저명한 국제학술지에 플라시보 효과에 관한 논쟁이 실렸다. 플라시보 효과와 그에 상반되는 노시보 효과를 통해 ‘인체의 건 ... 것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기사의 원저작권은 타임워너사에 있으며, 본 원고는 국내
학생
들을 위해 문장이 재편집됐음을 알려 드립니다 ... ...
음악을 좋아하는 이과
학생
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Q. 저는 물리를 좋아해서 진로를 이과로 정했는데요. 음악 또한 좋아해 예술 분야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음악에 대한 흥미와 예술감각을 살려 진출할 수 있는 이공계열 전공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공부하다 졸릴 때, 집중력을 높여서 공부가 잘 되게 하는 소리가 있다면? 심신이 지칠 때 바람소 ... ...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방법을 익힌다. 또 한정된 비용으로 최적의 시스템을 제작하는 과정을 배운다.5. 어떤
학생
을 원하나요?굉장히 넓은 범위를 아우르는 학문이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 공학 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이나 경영학, 예술에도 관심이 많고, 특별히 자신 있는 분야가 있어 ... ...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되돌아가려는 성질이 강하다. 바꿔 말하면 처음 상태에서 변형시키기도 힘들다.실제로
학생
들이 탄성이 클 것이라고 생각하는 고무나 스펀지보다 강철의 탄성이 훨씬 크다. 그리고 이런 물체일수록 부피탄성률이 큰 것이다. 즉 기체보다는 액체가, 액체보다는 고체가 변형시키기 힘들고 ...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대통령과학장
학생
심사 때 받은 질문과 비슷했다”며 “논문 덕분에 대통령과학장
학생
에 뽑혀 전액 장학금을 받게 된 셈”이라고 말했다.자세한 논문 투고요령과 제출방법은 한국과학영재지원정보센터 홈페이지(www.kisg.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논문은 기본적으로 파일을 e메일로 보내고 인쇄본 ... ...
세포 및 미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않고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강한 동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목표의식이 강한
학생
을 원한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학부에서 요구하는 전공 과정을 기본으로 듣고, 생화학이나 분자생물공학과 같은 생물 관련 과목을 배워두면 좋다. 남들이 하지 않은 독창적인 실험을 하기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전 초등
학생
남자 아이가 신종플루에 걸려 목숨을 잃었어. 이젠 잠잠해졌다고 생각했던 신종플루와의 싸움이 다시 시작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끔찍한 생각마저 들어. 과연 바이러스는 얼마나 큰 힘을 가졌을까? 바이러스를 미리 알고 이겨 낼 수 없을까? 궁금한 게 너무 많아. 앞으로 바이러스가 ... ...
수학은 남자가 잘한다 vs 환경 탓이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것입니다. 실제로 남녀평등지수가 높은 스웨덴 같은 북유럽 국가에서는 남
학생
과 여
학생
의 수학 성적이 비슷했습니다.진실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채 양쪽 의견은 서로 대립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남자가 여자보다 수학에 유리하다’는 편견이 널리 퍼져있지요. 이 속설이 사실인지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며느리에게 주지 않는다’라는 말도 이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과거 대학가 주변에는
학생
들의 주머니사정을 고려해 값이 싸고 배부른 요리들이 여럿 개발됐는데, ‘고갈비’는 그 대표 격인 음식이다. 고등어를 구워 갈비처럼 먹는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고등어를 구울 때 진동하는 구수한 ... ...
우리 몸은 어떻게 움직일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글 김재현·haung@naver.com 공부의 주체는
학생
이며 스스로 질문하고 답변할 때 진정한 공부가 이뤄진다고 믿는다.
학생
들이 이런 능력을 갖출 때까지 끊임없이 자극하고 격려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