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성과와 지출 보고서를 제출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의무가 없다. 연구가 당초 생각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전문 과학자들인 NIH의 연구 프로그램 디렉터와 상의해 연구 목표를 수정할 수도 있다. 송 디렉터는 “연구자가 연구 목표를 수정했다고 불이익을 주지 않는다”며 “모든 것은 연구비 지원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무척 중요하다. 이곳 역시 김 연구원이 없으면 삽핵과 같이 세심한 기술이 필요한 과정은 진행할 수 없다.학생들이 실습한 삽핵은 진주조개의 생식소에 진주가 될 핵(조개 껍질을 뭉쳐 동그랗게 만든 것으로 마치 구슬같이 생겼다)을 삽입하는 과정이다. 핵이 성공적으로 들어가면 진주조개는 ... ...
- Intro. 가장 인간적인 표정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쁠 때는 눈꼬리는 아래로 쳐지고 입 꼬리는 위로 올라가면서 함박미소를 짓는다. 슬플 때는 눈코입이 모두 아래로 쳐지면서 엉엉 운다. 어떤 사람은 화가 나면 입술을 이죽이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콧잔등에 잔주름을 잔뜩 내면서 웃는 모습이 매력적이다. 표정은 제2의 언어라 불러도 무색할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인간다운 표정은 이런 교감에 필수다.어쩌면 로봇이 요리 주문을 받거나, 뉴스를 진행하거나, 심지어 물건 가격을 흥정해서 파는 상황이 머지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때는 로봇에게 ‘사람이 아니라는 표시’를 꼭 해야만 하는 법이 생기지 않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장 인간적인 ...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많은 생명들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어요.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바다와 숲에 사는 많은 생명들이 살 곳을 잃고, 생명다양성도 줄어들고 있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사라 프레이 박사팀이 오래된 숲이 지구온난화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숲은 중앙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풀 수 있지만, 떠오르지 않으면 언제 풀릴지 알 수 없다. 영재교육원과 고등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R&E 문제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R&E 문제는 짧으면 몇 주, 길면 몇 달에 걸쳐서 교사와 교수의 도움을 받아 풀 수 있는 문제다. 결과가 좋으면 수학자처럼 논문을 낼 수 있다. 크라우드 매스에 ...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벌 주는 자리가 아니라, 잘 한 연구자를 상찬하는 자리니까.여러 해 노벨상 관련 기사를 진행하면서 느낀 게 있다. 한국은 아직 노벨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나라라는 냉정한 현실이다. 한국은 해외 선진국에서 유행하는 과학을 배워와 국내 젊은 학생에게 전파하는 데 대부분의 자원을 투자할 수밖에 ...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오늘은 체육 시간에 축구 경기를 하는 날이다. 드디어 내 발 앞에 공이 왔고, 야심 차게 골대를 향해 슛!~을 날렸지만…. 안타깝게도 축구공은 골대 위를 훌쩍 넘어가 버린다. 둥그런 탓일까? 축구공은 저 멀리까지 떼굴떼굴 굴러간다. 그런데, 축구공이 겉보기에만 구라고?겉모습만 구인 축구공?학교 ...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유명한 건축물이나 중요 문화유산은 다양한 형태의 모형으로 제작된다. 정교한 모형은 실제 건축물의 구조와 디자인이 어떤지 알 수 있게 한다. 이 둘은 서로 닮은 도형이다. 자기 자신과 닮은 도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닮은 도형에 대한 호기심을 넓혀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를 만들어보고 그 특 ...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매년 10월 첫 주. 많은 한국인의 이목이 스웨덴 노벨위원회에 집중된다. 하루 한 분야씩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과학상을 탈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각종 매체에 과학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