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동기선
보트
보우트
동력선
모터보트
함재정
작은보트
d라이브러리
"
작은배
"(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포항공대의 제 3세대 방사광 가속기 설치를 계기로 가속기의 원리와 이용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최근 과학기술과 관련해 가속기라는 말이 자주 쓰이고 있다. 특히 본격적인 제3세대형의 방사광 가속기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포항공대에 건설될 예정이어서 관련산업기술의 발달도 주목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이제'블랙홀은 존재하는가'를 묻는 시대는 지나가고 태양의 수억배 질량을 갖는 거대 블랙홀을 생각해야 하는 때가 도래했다. 블랙홀은 천체물리학계의 '괴물'인가? 사실 지난 70년대 초반만 해도 블랙홀은 '거대한 중력으로 인하여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곳' 또는 '모든 물리학이 붕괴되는 시공간 ... ...
초전도현상 컴퓨터개발에 이용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초전도현상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면서 이를 활용한 컴퓨터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초전도현상은 일정온도 이하에서 전기저항이 완전히 제로가 되는 것. 컴퓨터는 보다 많은 회로를 작은 칩 속에 집적시켜야 성능이 높아진다.그런데 많은 회로를 좁은 공간에 집적시키다 보면 전기 저항으로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사람은 하루중의 약8시간을 잠이라는 무의식의 세계에서 보낸다. 이때 감싸주는 이불속에 미묘한 기상이 형성된다. 다음은 안락한 잠과 관련된 연구성과를 정리한 것. 지구 둘레는 대기가 둘러싸고 있다. 따뜻한 공기는 팽창하여 위로 올라간다. 차가운 공기는 밑으로 내려온다. 바람이 일어난다. ... ...
정글의 지게차 코끼리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일곱마리의 숫코끼리, 한마리의 어린 코끼리, 세마리의 암코끼리가 컴컴한 산악정글속에서 사람들과 함께 살고 있다. 현재 타일랜드의 코끼리 조련사들은 에덴의 동산에서 잊혀져버린 인간과 동물과의 완전한 조화와 같은 삶을 재현하고 있다. 코끼리 조련사들은 자신들의 회색의 친구인 코끼리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바닷물의 염해를 줄이려는 낙동강 하구언공사나 도시폐수로 오염된 한강을 깨끗하게 하려는 개발사업이 자연생태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생태계가 잘 보존되었던 낙동강 하구 낙동강하구언 공사가 착공 4년7개월만인 1987년 11월에 완공된 후 생태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광활했던 갈대밭과 ... ...
나일강농어 거대한 물고기가 일으킨 재난 토착어류멸종, 식량자원고갈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호수 빅토리아에 거대한 농어가 등장, 생태계와 아프리카인의 단백지질 공급에 치명타를 주고 있다. 거대하고 먹성좋은 나일강농어(Nile perch · 학명 Lates Niloticus)가 열대지역에서는 세계 최대인 빅토리아호에 침입, 작은 물고기를 멸종시키고 있다.이 농어는 완전히 자랐을 때 ... ...
공부 잘하고 사무능률 올리려면 집중력을 높이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어떻게 하면 시험을 잘 치를 수 있고 회사에서도 업무능력이 뛰어날 수 있을까. 심리학실험으로 밝혀진 능력개발법을 정리해본다.사람은 누구나 머리가 좋아지고 싶어 한다. 그러나 인간의 기본적인 지능발달은 6세 까지에서 끝나고 만다고 한다. 달리 말하면 천재를 제외하고는 사람의 지능은 크 ... ...
중국의 황산(黃山)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아미산 태산과 함께 명산중의 명산이라는 황산은 72개의 수려한 봉우리와 60여 폭포, 그리고 당나라 시대 이래의 영천을 갖추고 있으며 아담한 소나무와 아름다운 구름바다에 싸인 환상과 꿈의 고향이다.중국 명(明)나라 시대의 서하객(徐霞客)이라는 사람은 중국에서 가장 저명한 여행가이다. 그가 ... ...
인간이 발디딘지 18년 달의 신비, 얼마나 벗겨졌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인간에게 가장 친근하면서도 아직 모르는 것이 많은 달.지난 18년간 밝혀진 새로운 사실과 앞으로의 이용계획 등을 한가위를 맞아 알아본다.한가위의 보름달을 보면서 우리들은 곧잘 떡방아를 찧고 있는 옥토끼나 계수나무를 머리에 그리곤 한다. 사실 달표면의 얼룩덜룩한 무늬를 잘 들여다 보면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