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살고 있는 행성이 일렬로 늘어서 있다고 하자. 만약 지구인이 펄서의 신호와 나란한 방향으로 신호를 보내면 펄서의 신호에 주목하던 지적생명체가 지구인의 신호를 알아챌 거라는 생각이다. 작가들은 SF에 등장할 법한 아이디어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천문학자가 있다는 사실을 매우 흥미로워했다 ... ...
-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이동하는 삼투작용이 일어난다. 이때 삼투압보다 10~30배 높은 압력(30∼100kg중/cm2)을 반대 방향으로 가하면 심층수의 물 분자가 용질의 농도가 낮은 담수 쪽으로 이동(역삼투)해 해양심층수에 녹아 있는 각종 무기염류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무기염류는 경도를 맞추기 위해 종류와 양을 ... ...
- 하와이 제도에서 찾은 진화의 증거과학동아 l2009년 03호
- 다시 일어나면서 새로운 섬이 형성된다.따라서 하와이 제도 생성 초기에는 판의 이동 방향의 가장 위쪽의 섬인 그림의 카우아이섬만 존재했으므로 카우아이섬에 있던 초파리만 존재했을 것이다. 지금 하와이 제도에 있는 약 500종의 초파리는 카우아이섬의 초파리가 새로 만들어진 섬으로 유입된 후 ... ...
- 완벽(完璧)한 입체, 구과학동아 l2009년 03호
- 0°로 기준으로 삼은 본초자오선으로부터 동서방향으로 잰 각이고, 위도는 적도부터 남북방향을 향해 잰 각이다.큰그림 보러가기 큰그림 보러가기예를 들어 우리나라 독도는 동경(본초자오선에서 동쪽으로)이 약 132°, 북위(적도에서 북쪽으로) 약 37°인 곳에 위치한다. 이처럼 곡면 위에 ... ...
- 퍼즐 맞추며 인체 구조 배운다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사람의 팔은 안으로는 굽는데 바깥으로는 굽지 못할까.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은 방향이 왜 다를까.인체의 뼈 구조와 근육 구조를 퍼즐 식으로 맞추며 공부할 수 있는 ‘소형 인체 모형’이 나왔다. 홍콩의 페임 마스터가 만든 ‘인체해부 4D 퍼즐’은 조각난 퍼즐을 조립해 인체 모형을 ... ...
- [생물]최적의 현미경, 최적의 온도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처음의 운동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다. 한쪽 방향으로는 저절로 일어나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저절로 일어나지 않는 현상을 비가역 현상이라고 한다. 폭포에서 물이 떨어지거나 향기가 퍼져 나가는 현상이 대표적인 비가역 현상이다. 자연 현상은 대부분 비가역 현상이다. 1) 제시문(라)의 밑줄 친 ... ...
- 프랙탈 따라잡기과학동아 l2009년 03호
- 만드는 과정과 유사하지만, 가운데 제거된 선분이 두 개의 선분으로 구현 될 때 그 방향이 임의로 생기는 것만 다르다( 참고). 해안선 외에도 프랙탈 구조를 적용해 설명할 수 있는 자연계 현상이 많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나무( 참고)와 소장의 융털, 허파의 폐포가 있다. 이들은 작은공 간에 ... ...
- 진화론 논쟁 감상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최상의 구조와 차이가 있다. 그래서 진화는㉠ 불가피하지만 타협적인 구조를 선택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순간순간의 필요에 대응한 결과가 축적되는 과정이라고할 수 있다. 질식의 원인인 교차된 기도와 식도처럼, 우리가 보기에는 납득할 수 없는 불합리한 구조가 진화의 산물이 되는 이유도 ... ...
- 무지개빛 프리지아 부케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09년 03호
- 한 결과 지금처럼 건장한 체구가 됐다. 그렇다면 조 연구사가 추구하는 프리지아 육종의 방향은 무엇일까.“꽃 한 송이를 보면서 100가지도 넘는 생각을 합니다. 대충 보고 넘어가면 몇 년의 세월을 날려 버릴 수도 있으니까요.”조 연구사가 가장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부분은 초세다. 초세란 꽃과 ...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상세 관측을 시작한다. 스위프트가 감마선 폭발이 발생한 직후 폭발 지점으로 망원경 방향을 돌릴 때 걸리는 시간은 70초 정도다. 지금까지 스위프트의 촬영 정보로 감마선폭발에 대해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졌지만, 폭발 직후 70초까지 초기 단계에 대한 정보는 아직 없다는 뜻이다.박 교수는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