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있다. 사실 생명복제기술의 발달 수준을 고려했을 때 인간복제는 그렇게 까다롭지 않다.
국내
연구진도 복제인간을 충분히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지만, 기형아 탄생과 같은 윤리적인 이유 때문에 안하고 있는 것이다.복제인간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생명공학기술은 체세포복제술이다(그림 1).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방법과 TAP-태그 방법은 프로테오믹스 연구에 획기적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국내
에서도 이 방법을 이용한 단백질 네트워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필자의 연구팀에서는 세포막의 유동성을 관장하는 포스포리파제D2와 연결된 단백질 분자 네크워크를 최근 완성했다. 특히 세포 ... ...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우리 손으로 우리 고유모델의 초음속 항공기를 개발했다는 점이다. 이로써 앞으로
국내
에서 개발되는 어떠한 무장이나 한국공군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우리 자력으로 항공기를 개량할 수 있다. 진정한 자주국방의 기틀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T-50은 향후 한국형 전투기 개발의 ... ...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표적으로 하고 있는 약물이며 연간 50억달러가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의 막단백질 연구 현황은 초보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최근 발족된 프로테오믹스 사업단의 질환치료제 표적 단백질 연구는 막단백질 연구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환 표적 단백질의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해그리드가 애완용으로 키우던 거대 거미 아라고그가 숲으로 도망친 이유를 알 수 있다.
국내
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온라인 게임인 ‘리니지’의 바실리스크는 여섯개의 다리를 갖고 있는 도마뱀 모양이다. 리니지의 플레이어들은 해리 포터의 바실리스크에 의문을 갖겠지만 바실리스크가 ... ...
한치의 오차 없는 우편 배달 시스템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개발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연구실에서는 우편물 배달 시스템 이외에도 KT와 함께
국내
광통신 네트워크 최적 설계, 조선소 등의 제조시스템에서 생산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연구 등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동단말기, GPS 등과 연계해 실시간으로 수·배송을 최적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 ...
우주 최대의 교통사고 은하 대충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몇달 전
국내
천문학자들이 우리은하에 외부은하가 충돌한 또다른 흔적을 발견해 세계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은하끼리 충돌하는 일은 이제 먼 우주에서만 일어나는 남의 일이 아닌 셈이다. 우주에서 가장 큰 교통 사고인 은하 충돌의 진실을 파헤쳐보자. ...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해가 필요하다. 물론 화학과 생물학, 물리학 등 기초과학이 바탕이 돼야 함은 물론이다.
국내
에서 광촉매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과정은 개설돼 있지 않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광촉매 연구가 기존의 학문과는 달리 여러 분야가 접목되는 학문이라는 점을 고려해, 학부 때 한가지 분야를 전공한 후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분화가 덜된 성체 줄기세포가 있다는 사실이 최근 알려지기 시작했다.김 박사는 1998년
국내
로 귀국하면서 아주대 의대에 뇌질환연구센터를 만들어 이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뇌실의 신경줄기세포를 이용하면 뇌세포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던 예전 수준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건강한 ... ...
2. 대선 공약 주요 항목으로 떠오른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두 후보의 과학기술정책을 점검했고, 한국경제신문의 이공계 살리기 특별취재팀은 ‘
국내
과학자중 떠오르는 스타가 있다면?’ 등의 구체적 항목을 갖고 각 후보에 대한 과학기술정책을 조사했다. 또한 조선일보는 역대 대통령의 국정능력을 평가하면서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이례적으로 많은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