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있다. 사실 생명복제기술의 발달 수준을 고려했을 때 인간복제는 그렇게 까다롭지 않다.
국내
연구진도 복제인간을 충분히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지만, 기형아 탄생과 같은 윤리적인 이유 때문에 안하고 있는 것이다.복제인간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생명공학기술은 체세포복제술이다(그림 1).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얻은 별명이 ‘여장부’. 유 단장은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유향숙 단장과 함께
국내
의 대표적 여성 생명과학자로 꼽힌다. 하지만 그는 별명과는 달리 연구 과정에서는 누구보다 꼼꼼하고 철저하기로 유명하다. 앞으로 10년 간 사업단을 이끌 계획을 묻는 질문에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할 ... ...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표적으로 하고 있는 약물이며 연간 50억달러가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의 막단백질 연구 현황은 초보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최근 발족된 프로테오믹스 사업단의 질환치료제 표적 단백질 연구는 막단백질 연구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환 표적 단백질의 ... ...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우리 손으로 우리 고유모델의 초음속 항공기를 개발했다는 점이다. 이로써 앞으로
국내
에서 개발되는 어떠한 무장이나 한국공군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우리 자력으로 항공기를 개량할 수 있다. 진정한 자주국방의 기틀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T-50은 향후 한국형 전투기 개발의 ... ...
월드컵 하늘에 방패연 띄운 다윗 - 류춘수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경기장 공모전에 도전했을 때였다. 주위에서는 그를 무모하다고 말렸다. 당시 H, P사 등
국내
의 내로라 하는 건설회사들이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실상 당선을 예약했기 때문이다.그러나 류 회장은 골리앗에게 도전했다. 한 건설회사가 그에게 찾아와 같이 도전해보자고 제의했다. 류 회장이 ... ...
한치의 오차 없는 우편 배달 시스템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개발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연구실에서는 우편물 배달 시스템 이외에도 KT와 함께
국내
광통신 네트워크 최적 설계, 조선소 등의 제조시스템에서 생산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연구 등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동단말기, GPS 등과 연계해 실시간으로 수·배송을 최적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 ...
우주 최대의 교통사고 은하 대충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몇달 전
국내
천문학자들이 우리은하에 외부은하가 충돌한 또다른 흔적을 발견해 세계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은하끼리 충돌하는 일은 이제 먼 우주에서만 일어나는 남의 일이 아닌 셈이다. 우주에서 가장 큰 교통 사고인 은하 충돌의 진실을 파헤쳐보자.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분화가 덜된 성체 줄기세포가 있다는 사실이 최근 알려지기 시작했다.김 박사는 1998년
국내
로 귀국하면서 아주대 의대에 뇌질환연구센터를 만들어 이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뇌실의 신경줄기세포를 이용하면 뇌세포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던 예전 수준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건강한 ... ...
2. 대선 공약 주요 항목으로 떠오른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두 후보의 과학기술정책을 점검했고, 한국경제신문의 이공계 살리기 특별취재팀은 ‘
국내
과학자중 떠오르는 스타가 있다면?’ 등의 구체적 항목을 갖고 각 후보에 대한 과학기술정책을 조사했다. 또한 조선일보는 역대 대통령의 국정능력을 평가하면서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이례적으로 많은 ... ...
1. 지능 높은 로봇비행기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현상이 거의 없다는 점도 장점으로 부각된다.평범함에서 한층 도약하려는
국내
연구
국내
무인기 분야의 연구개발 현황은 어떨까. 국방과학연구소와 대우중공업(현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공동으로 199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착수해 2000년 10월에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한 군 전술용 무인기 ‘비조’가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