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스페셜
"
가운데
"(으)로 총 3,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보고서 나왔지만 오늘날 과학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이후 유럽에 기반을 두고 있고 그
가운데
서도 영국의 기여도가 압도적인데 문득 영국에 스타일이 있는 과학자들이 많아서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체의 질량과 운동에 대한 몇 가지 가정을 통해 고전역학을 창시하고 사실상 완성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라이너 바이스 교수, 칼텍의 킵 손 교수가 그들이다. 지난 11일 기자회견 자리에는 이
가운데
바이스와 손 교수가 보였다. 미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1992년 3월호에 에 실린 라이고 프로젝트 주역들. 위 사진 팔짱 낀 사람이 칼텍의 로슈스 보그트 교수이고 그 오른쪽이 로널드 드레버 ... ...
삶을 압축해 놓은 작은 공간, 큐브(Cube, 1997)
IBS
l
2016.02.03
사는 세계를 정육면체 방 안에 압축시켜 놓았다. - 라이온스 게이트 제공 수많은 큐브들
가운데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방은 단 하나. 일행들은 탈출구를 향해 안전한 방을 찾아 방을 이동하기 위해 다양한 수학공식을 적용한다. 영화 초반 소수와 합성수의 조합을 해법으로 일행들은 수학도의 머리를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수 있는 기관에 보냈고 셋 다 양성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
가운데
사람 사이에 감염이 된 최초의 사례다(아내는 모기에 노출된 적이 없으므로). 그렇다면 어떻게 지카바이러스는 모기 없이도 다른 숙주에게 갈 수 있었을까. 당시 포이 교수는 전립선염이 있었는데 아내와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우리가 전형적인 눈결정이라고 생각하는 잔가지가 있는 육각형 별 형태는 여러 눈결정
가운데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또 육각기둥이나 심지어 바늘처럼 생긴 눈결정도 있다. 필자에게 가장 미스터리한 현상은 온도 범위로 눈결정의 형태를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 즉 0℃에서 영하3℃ 사이에서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세로축)과 줄기세포 분열횟수(가로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분포돼 있는 여러 암
가운데
아래쪽에 있는 것들만(빨간점선)을 임의로 일어난 경우로 가정할 경우 많은 암에서 외부요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90%를 넘는다. - 네이처 제공 예를 들어 평생 1000억 회 이상 세포 분열하는 소장에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살다간 석유갑부 ‘모리스 스트롱’
2016.01.10
스트롱(1929. 4.29 ~ 2015.11.27)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살다간 석유갑부 모리스 스트롱(
가운데
)은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를 주관했다. - UN 제공 1929년 미국 뉴욕의 주가 대폭락으로 시작된 대공황은 미국뿐 아니라 세계 경제를 파탄시킨 사건이었다. 이해 4월 29일 캐나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2016.01.09
관점에서 르네상스를 재해석한 ‘Worldly Goods(상품의 역사)’(1996)로 그녀의 작품
가운데
유일하게 한국어판(2003)이 나왔다(아쉽게도 현재 절판됐다). 런던대(UCL)의 르네상스연구 교수로 있던 자딘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영국 보건국 산하 인간생식배아관리국(HFEA) 국장으로도 일했다. 이 기간 동안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해양생물인 성게의 발생과정을 분자차원에서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많은 생물
가운데
성게를 택한 건 무척추동물이면서도 인간처럼 후구동물이기 때문이다. 1990년대 후반 데이비슨은 성게게놈서열분석컨소시엄을 만드는데 구심점 역할을 했고 학술지 ‘사이언스’ 2006년 11월 10일자에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
2016.01.05
2010년 나온 한글판 표지. - 교보문고 제공 저널리스트나 전문 작가가 아닌 과학자나 의사
가운데
가장 글을 잘 쓴다는 올리버 색스(Oliver Sacks)가 지난 8월 30일 타계했다. 대표작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1985년 출간)를 비롯해 십여 권이 우리말로 번역돼 있을 정도로 국내 독자층도 두텁다. 19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