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뉴스
"
제작
"(으)로 총 5,24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온도 4도 오르면 인천·김해국제공항 모두 잠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정부간 협의체(IPCC)의 데이터를 가지고 ‘해수면이 공격해 온다’라는 인포그래픽을
제작
했다. 직관적으로 해수면 높이에 따라 어떤 도시들이 잠기게 되는지를 그림으로 풀어냈다. 기후변화가 이대로 진행되면 100년 후에는 이탈리아 베니스, 200년까지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독일 함부르크 등의 ... ...
단백질을 색색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 10억분의 1m) 크기의 균일한 구멍을 주기적으로 뚫은 플라즈모닉 나노구조체를
제작
했다. 이 나노구조체 위에 생체물질을 놓으면 생체물질이 갖는 유전율에 따라 다른 색이 나타나 육안이나 현미경으로도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생체물질 영상 데이터를 영상의 픽셀 별로 분석해 생체물질이 바뀔 ... ...
건설현장 투입될 로봇·IoT기술 실증 시설 첫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있다. 건설 로보틱스 프리팹 랩은 현장시공에 필요한 건설부재를 미리 만들어보는 사전
제작
공간이다. 대형 로봇 팔과 가공 장치를 이용해 최대 3m 크기의 건설부재
제작
, 건설 자동화 작업기술 개발과 검증을 해볼 수 있다. IoT 샌드박스는 아이들이 모래놀이 하듯 관련기술을 자유롭게 개발할 수 ... ...
얼굴 인식 AI 예술작품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작품들이다. 한형석 기계연 기계시스템안전연구본부 책임연구원과 조융희 작가가 함께
제작
한 ‘실존과 비실존의 경계1’는 AI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해 관객의 성별과 나이를 유추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AI가 얼굴을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작품이다. 관객이 존재하는 실재와 AI가 처리하는 ... ...
컬러필터 없는 풀컬러 이미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이 컬러필터를 뺀 이미지 센서 시제품을
제작
했다. 휘어지는 웨어러블 소자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컬러필터가 없이도 색깔을 정확하게 촬영하는 풀컬러 이미지 센서가 개발됐다. 두께가 800nm(나노미터) 이하로 얇아 휘는 웨어러블 ... ...
‘빛 회전방향’ 신호로 쓰는 차세대 통신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 선임연구원은 “원편광 감응 반도체 박막을 손쉽게
제작
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제시했다”며 “앞으로 원편광 응용 기술 상용화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초음속 '비' 맞아도 깨지지 않는 유리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며 기공이 없는 투명한 고강도 세라믹
제작
에 성공했다. 장치에 의한 오염과 분위기에 의한 환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탈럼 소재로 된 호일로 시편을 감싼 후 이를 가압 소결했다. 이를 통해 단결정 대비 동등 이상의 투광성을 확보하고 내열충격성을 ... ...
인공근육에 쓰는 DNA 닮은 고탄성 전기 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월등히 높은 늘어나는 축전지(커패시터)를 개발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슈퍼코일 섬유
제작
모식(왼쪽)과 이렇게 만든 섬유를 확대한 모습. -사진 제공 DGIST 연구팀은 이 섬유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층을 입히고 에너지 저장 물질을 도입하는 등 추가적인 기술을 접목하면 신축성이 중요한 신호 ... ...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암세포로 항암제 효능 검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이런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3D 프린터를 이용해 장기를
제작
하는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에 주목했다.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종양을 입체 형태로 만들었다. 실제 인간의 몸에서 생기는 종양과 동일하게 혈관, 암세포을 만든 것이다. 2차원 평면 형태이던 암세포를 실제 사람 ... ...
코스타리카 출신 유학생, KAIST서 ‘김치 타이머’로 석사학위 취득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졸업하는 마리오 호세 레예스 카스트로 씨는 '초보자를 위한 김치 모니터링 도구
제작
’를 연구했다. ‘김치 타이머’라 불리는 이 도구는 모바일 앱과 스마트 센서를 이용해 배추 김치의 숙성 정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수소이온농도(pH)는 배추 김치의 숙성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스마트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