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뉴스
"
월
"(으)로 총 26,64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항공청, 정책·외교 인재도 챙겨야…사천 유인책 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관련해 "기술 전문가 영입에 그치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개청까지 2~3개
월
남은 상황에서 우주청에는 정책 전문가가 절실하다"며 "기술 전문가는 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인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 "해외발사장·해상발사장 개척, ... ...
12대 국가전략기술 로드맵 완성·핵심 프로젝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등 5개 분야 임무 중심 전략 로드맵을 수립·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8
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등 기술패권 경쟁 직결 3개 분야와 10
월
인공지능·첨단바이오 등 미래혁신 분야에 이어 이번 로드맵을 수립했다. 올해 들어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거대과학 분야인 ... ...
북극곰 이어 펭귄까지…조류독감으로 펭귄 첫 폐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같은 운명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북극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해 12
월
6일 북극곰 1마리가 H5N1에 감염돼 폐사했다. H5N1은 알래스카에서 대머리독수리, 여우 등의 폐사 원인이 되고 있다. H5N1은 인체감염도 일으키는데 국내에서의 인체감염 가능성도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3 ... ...
제주 서귀포 이어도 북동쪽서 규모 3.8 지진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느낄 수 있는 진동 수준이다. 제주 인근에서 규모 3.5 이상 지진이 발생한 건 2021년 12
월
14일 이후 처음이며 지난해 11
월
30일 경북 경주 인근에서 4.0 지진이 발생한 뒤로는 2달 만의 일이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 ...
중국·사우디 수학자들, '인용 카르텔'로 인용수 높였나…학계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인용됐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논문 인용 횟수 분석업체인 클래리베이트는 지난해 11
월
‘영향력 있는 연구자 목록’에서 아예 수학 분야 전체를 제외했다. 도캄포 교수에 따르면 2008~2010년만 해도 인용률이 상위 1%에 드는 수학 논문을 생산한 대학으로는 미국 ... ...
공공기관 족쇄 풀린 출연연…해외석학 초빙 인건비 상한선 풀린다
2024.01.31
인건비 지급에 제약을 둘 가능성도 남아있다. 비슷한 사례로 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해 1
월
공공기관에서 지정 해제됐지만 여전히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의 인건비 규제를 받고 있다. ● 공운법 해제되며 불합리한 비용 규정 개선 기대 공공기관 지정이 해제되면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 ...
김치미생물로 '커피 찌꺼기→유용자원'으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커피 찌꺼기를 자원화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BonNontawat/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김치미생물을 활용해 폐기물을 유용자원으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탄소중립과 순환 ...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종합환경과학’ 2
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플라즈마로 리튬 추출 효율 3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방식보다 3배 많은 리튬을 추출하는 데 성공해 국제 학술지 '디솔리네이션'에 지난해 12
월
발표했다고 31일 밝혔다. 리튬 추출은 리튬이 포함된 염수(鹽水)에 탄산나트륨(Na2CO3)을 혼합해 리튬과 이산화탄소가 결합된 탄산리튬(Li2CO3)으로 추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 방식은 추출된 탄산리튬에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정 KAIST 교수…로봇 피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
월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는 상이다. 김 교수는 인간의 촉각 수용과 감각 전달 원리를 모방해 인간처럼 촉각을 느끼고 상처도 치유되는 대면적 로봇 피부를 개발했다. 외부와의 ... ...
[과기원NOW] 포스텍,100배 저렴한 센서로 자율주행차 대중화 이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유기 광소자(OPD) 센서를 개발해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해 11
월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라이다(LiDAR)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눈’으로 불린다. 빛을 사용해 장애물과의 거리와 위치 등 정보를 분석하는 센서다. 연구팀은 센서 제작 공정 중 하나인 '도핑'을 새로 설계했다.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