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주
거즈
뉴스
"
안정하기
"(으)로 총 5,49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항체, 최장 2개월간 지속"
연합뉴스
l
2020.06.16
[연합뉴스TV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전부 항체 양성 반응이 나타나지는 않으며 항체가 형성된 경우 최장 2개월 지속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런던 세인트 조지 대학과 리버풀 열대의학 대학 연구팀이 코로나19 확진자 17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항체 검사 ... ...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력 10배로 커졌다"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국군의무사령부 제공 미국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인간 세포를 10배 더 쉽게 감염시키게 변이됐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최혜련 미국 플로리다 스크립스 연구소 연구원팀은 이 같은 연구결 ... ...
재사용로켓과 소형로켓 상징하는 두 우주기업 4시간 간격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발사되고 있는 로켓랩의 우주발사체 '일렉트론'. 로켓랩 제공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로 움츠렸던 우주산업이 다시 기지개를 펴고 있다. 미국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와 로켓랩이 지난 13일(현지시간) 불과 4시간 간격으로 나란히 우주로 소형로켓과 재사용 로켓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U S Army RDECOM/위키피디아 제공 퀀텀닷은 수㎚(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반도체 입자를 뜻하는 용어다. 1982년 러시아 과학자들이 처음 발견한 뒤 1993년 마크 캐스트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처음 합성했다. 이어 삼성전자가 친환경 퀀텀닷 소자를 활용한 첫 번째 상품 ... ...
'큰불 잡고 방심했다 잔불 못잡는 수도권 방역' 신규 감염자 다시 50명대로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11일 영등포구 보건소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환자가 하루새 56명 늘었다. 이틀 만에 다시 50명대로 증가했다. 이날 신규환자 중 지역 발생이 43명이다. 대구 1명을 제외한 42명이 모두 ... ...
日연구팀 '겨울잠' 유도 실험 성공…의료·우주탐사 활용 기대
연합뉴스
l
2020.06.12
日연구팀 '겨울잠' 유도 실험 성공…의료·우주탐사 활용 기대 일본 연구팀이 원래는 동면(겨울잠)하지 않는 쥐의 뇌세포를 자극해 동면에 가까운 상태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이 실용화되면 사람에게도 적용해 의료 분야나 우주탐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쓰쿠바(筑波) ... ...
6월 코로나 환자 96.7% 수도권서…정총리 "수도권 방역강화 기간 연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정세균 국무총리(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가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 총리,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 ... ...
제넥신, 코로나19 DNA백신 임상 1상·2a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제넥신 제공 국내 바이오기업 제넥신이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X-19’가 임상 1상과 2a상 승인을 받았다. 국내 기업이 임상 승인을 받은 것은 처음이다. 미국 기업 이노비오가 지난 2일 식약처 승인을 받은 이후 두 번째다. 제넥신은 11일 GX-19이 식품 ... ...
UNIST, 가시광선으로 '약물 뼈대' 합성하는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06.11
하나다. 4개의 탄소 원자가 사각형 고리 모양 구조를 갖는데, 고리의 꺾이는 부분이 불
안정하기
때문이다. 자외선을 이용해 합성할 수 있지만, 자외선의 높은 에너지가 시클로부텐 골격체에 첨가된 작용기에 영향을 줘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 시클로부텐 화합물을 합성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주기율표 113번 원소 '니호니움(nihonium·원소 기호 Nh)' 발견의 주역인 규슈대 모리타 고스케 교수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6.9. 연합뉴스 제공 19세기의 시작과 함께 기억할만한 사건은 전지의 발명이다. 이탈리아 파비아대의 알렉산드로 볼타(1745~1827)는 전기를 연구하던 도중 전지를 발명했다.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