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여러 예측이나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요한 볼른 인디애나대 교수는 미국의 트윗 약
100
만 개를 수집해 6개의 감정으로 분류한 뒤 시간 별로 추적해, 미국 주가를 87.6%까지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마이클 메이시 코넬대 교수는 84개국 240만명의 트위터 데이터를 분석해, 긍정적인 감정과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맞는다면
100
여 년 전 추방된 에테르가 부활할지도 모른다. 어쩌면 물리학의 역사를
100
년 전으로 후퇴시킬지도 모를 일이다.과연 α는 상수일까, 아닐까? 지난해 빛의 속도보다 더 빠른 중성미자(뉴트리노)가 발견됐다는 소식으로 전 세계가 떠들썩했다. 최근 그 연구결과는 오류였다는 주장이 나오고 ... ...
제11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지정도서를 읽고 작성하면 된다. 중·고등부 대상 수상자는 지식경제부 장관상과 상금
100
만원을 받는다. 특히 올해 고등부 대상 수상자에게는 과학동아와 한국해양연구원이 공동주관하는 열대해양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대한민국 최대 규모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학생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유리 표면을 훑게 했을 때 전달되는 신호를 비교하자 요철이 있는 재질일 때 감도가 최대
100
배까지 민감해짐을 확인했다.연구자들은 특히 섬세한 질감을 느낄 때 지문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즉 손끝이 물체의 표면을 지나갈 때 진피에 있는 신경의 말단인 파시니 소체가 진동의 형태로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mm이고 DNA가닥의 지름이 수 nm(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이므로 나노 뜨개질은 대략
100
만 분의 1 크기로 축소된 뜨개질인 셈이다.그런데 과학자들은 DNA를 이용한 나노 뜨개질에 ‘DNA 오리가미’란 이름을 붙였다. 오리가미(origami)는 종이접기의 일본말로 영어에서 그대로 받아들여 쓰고 있는 단어다.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할 것들이 많다.바다 위를 날아다니는 조류가 풍력발전기에 부딪칠 수도 있고 높이가
100
m나 될 정도로 워낙 높다 보니 철새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해저 케이블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장과 저주파 소음으로 근처에 살고 있는 동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거나서식지를 떠날 수도 있다.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즐겨 먹던 소비자들은 배신감을 느낀다는 반응이었다. 그동안 피자 업체 대부분은 ‘
100
% 자연치즈’를 강조하는 광고를 해왔기 때문이다. 일부 소비자들은 ‘가짜 치즈’를 속여서 팔았다며 분노하기도 했다. 그러나 모조치즈가 못 먹을 식품은 아니다. 자연치즈의 맛과 모양을 흉내 내서 만든 건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개발 위성 vs 장거리 미사일 발사북한이 김일성 주석
100
회 생일에 맞춰 4월 12~16일 사이 ‘광명성 3호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혀 국제사회에 파장을 일으켰다. 광명성 3호 발사에 국제 사회가 술렁이는 까닭은 위성 발사 기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바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인해 부착력이 더 세지기 때문이다.이를 ‘전기 모세관’ 현상으로 불리는 이 기술은
100
여 년 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이 현상은 1V이하의 낮은 전압에서만 발생하고 높은 전압을 걸면 물이 전기분해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1990년 높은 전압으로도 표면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일렉트로웨팅 현상이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것보다 독자의 시각에서 공감대를 이끄는 방향으로 기사 구성을 하는 게 좋다. 특히
100
마디의 설명보다 그림 한 장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음파 진동 원리 설명을 줄이고 이를 표현하는 이미지가 있었으면 훨씬 돋보이는 기사가 됐을 것이다. 두 기사 모두 다소 어려운 과학 원리를 일상 속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