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RBM이라는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듬을 발표하면서부터 관심을 받기 시작했는데, 이후 수많은 연구자가 보다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개발해 왔다. 특히, 드롭아웃이라는 방법이 적용되면서 고질적으로 문제가 됐던 과적응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드롭아웃은 각각의 숨겨진 계층에 존재하는 노드 가운데 ... ...
-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권고에 따라 고리 1호기의 가동 시한이 만료되는 2017년 6월까지만 운전을 계속하고 이후 원전을 폐로, 해체하겠다고 밝혔다. 고리 1호기 해체에는 적어도 15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해체 예산은 6000억 원이 넘는다. 전문가들은 2050년까지 세계 원전 해체 시장이 10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꺼졌다. 인공지능 연구는 첫 번째 암흑기를 맞았다.제2의 암흑기…지식 추출의 병목 현상이후 인공지능 연구는 작은 주제로 쪼개졌다. 인간의 일반적인 지능을 구현하기보다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초점이 옮겨갔다. 특수하게 잘 정의된 문제를 푸는 능력은 순식간에 인공지능이 인간을 앞질렀다.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5분의 1이 영장류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낙타를 넘어, 감염병을 넘어 사스 사태 이후 이뤄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스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는 사향고양이가 아니라 중국 남부지역에 서식하는 관박쥐였다. 상당한 수의 야생관박쥐에서 사스 항체를 발견한 것이다. 사향고양이는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지구온난화가 슈퍼 엘니뇨 부추긴다?이번 슈퍼 엘니뇨는 1997~1998년 발생했던 엘니뇨 이후 18년 만이다. 당시 중태평양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2.8℃ 이상 올랐다. 전 세계에서 2만2000명이 목숨을 잃었고 36조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1982년 봄부터 1983년 여름 사이에도 1997년보다는 작지만 슈퍼 ... ...
- 지구사랑탐사대 3기 활동 전 필수 수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지사탐 활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2013년 12월 동아사이언스 천문대를 방문한 이후 어린이과학동아를 통해 2기 모집을 알게 됐어요. 모든 가족 행사 일정을 지사탐을 기준으로 잡을 정도로 열심히 활동했답니다.Q 지사탐 활동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있나요?매미가 막 탈피했을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과 RNA를 주입하는 방식 으로 간편하게 새로운 형질의 쥐를 만들 수 있다.마우스의 성공 이후 1년도 안 되는 짧은 시간동안 제브라피시(어류), 래트(포유류), 초파리(곤충) 등의 대표적인 실험동물은 물론이고 소, 돼지, 밀, 쌀 등 동 식물의 유전자 수정도 성공했다. 모두 이전에는 줄기 세포가 없어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도시 사진을 보여줬다. 동시에 평소 상태, 과제를 하면서 긴장한 상태, 그리고 사진을 본 이후 상태로 나눠 맥박을 측정했다. 그 결과 과제를 하면서 빨라진 맥박은 사진을 보며 다시 느려졌는데, 도시보다 자연환경 사진을 본 집단에서 더 빨리 회복됐다. 심지어는 평소 상태보다 더 편안해 하는 것이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열역 학을 이용해 슈테판의 관측 결과와 똑같은 결과를 도 출했다. 이후 흑체 복사 에너지와 온도의 관계식을 슈 테판-볼츠만 법칙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대 최고의 물리학자 볼츠만도 슈테판의 상수값을 이론 적으로 계산해내지는 못했다.1893년엔 독일의 물리학자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쏙! 미니 채소들원래 야생 토마토는 방울토마토처럼 크기가 작았어요. 하지만 1500년대 이후 사람들이 토마토를 먹기 시작하면서 더 큰 열매로 자라도록 만들었지요. 그러다가 1800년대 초, 페루와 칠레에서 야생 토마토와 비슷한 크기의 방울토마토를 다시 재배하기 시작했어요. 우리나라에서 처음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