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때문이다. 양자역학은 측정하기 전까지 결과에 대해 아무것도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이렇다. 당신 앞에 모피어스가 내민 알약 한 개가 있다. 빨간 색이다. 그렇다면 당신이 보기 직전에 이 알약의 색은 무엇이었을까? 그야 당연히 빨간 색이라고 말한다면 이건 양자역학을 모르는 거다.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킨 교수가 개발했다. 몇 가지 ‘모드’를 정해놓고 필요할 때 켜고 끄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각 로 봇에 대형유지, 장애물회피, 목표지점추종 등의 모드를 저장해 둔다. 그리고 센서로 들어온 외부 정보를 종합 해 아무런 변화가 없을 때는 대형유지 모드를, 갑자기 장애물이 나타났을 때는 ...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힉스입자 - 수학적 대칭이 깨지면 질량이 생겨난다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반도체 안의 전자를 고립시켜 스핀을 이용하는 방식. 사진은 ‘사이언스’에 실린 예로, 흰 원이나 원화살표 부분에 전자 스핀 정보가 담긴다.‘내가 양자컴퓨터다’라고 말할 수 있는 자 누구인가작년 3월, 미국 학술지 ‘사이언스’는 양자정보처리 특집을 마련했다. 양자컴퓨터의 기초 기술 중 ... ...
- 사과 2개를 5명이 나누려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했을까.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은 ‘공평한 분배’다. 사과 2개를 5명이 나눠 갖는 상황을 예로 들어 보자. 우선 사과 하나를 2개의 2/5조각으로 나눠 두 사람이 각각 갖고 또 다른 하나를 2개의 2/5조각으로 나눠 두 사람이 각각 가진 뒤, 양쪽에 남은 1/5 조각 2개를 모아 마지막 사람이 갖는다고 하자 ... ...
- 과학적으로 다이어트하기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감자칩을 먹게 되면 어느 순간 한 봉지를 다 먹고도 별로 배부르지 않은 것이 좋은 예이다.적절한 당분 섭취, 잠 부족과 몸매에 대한 스트레스 피하기, 감량 못지않게 체중 유지에 힘쓰기, 먹은 양 확인하기…. 그리 어렵지 않으면서도 분명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방법들을 통해 이번에는 꼭 ...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개선하는 데 주력합니다. 반면 산업공학은 시스템 혁신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다룹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을 만든 김범수 의장도 산업공학과 출신입니다. 물론 개발과정에서 컴퓨터공학이 가장 필요했겠지요. 하지만 수많은 사용자와 만나고 그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수록, ... ...
- 긴급! 변비 환자 둘 중 하나는 어린이거나 노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잔뜩 뿌려야겠어!아니에요! 저는 ‘개똥도 약에 쓰려면 귀하다’는 말처럼 소중한 존재예요. 우리를 충분히 삭히면 채소와 과일을 자라게 하는 훌륭한 비료가 돼요. 제가 내뿜는 메탄가스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거나, 코끼리 같은 초식동물의 똥에서 섬유질을 뽑아내 종이를 만들기도 하지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5, 박형주 - 피아제 6보다시피 모두 얼마 되지 않는 거리다. 이런 연결성을 설명할 만한 예로 촘스키로부터 박형주 교수까지의 경로를 구체적으로 조사해 보았다. 촘스키는 20세기 후반에 언어학을 과학으로 만드는 중대한 작업의 중심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다. 이뿐만이 아니라 철학, 컴퓨터 공학, ... ...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확률이다. 임의의 집단에서 정확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확률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이 항공기를 타기 위해 긴 줄을 섰을 때, 내가 100번째 있다면 몇 분 안에 항공기에 타게 될지를 계산하는 것도 그의 연구 분야다. 이 문제의 답은 $\sqrt{사람의 수×2}$ 라고 이미 밝혀져 있다.그는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