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과학으로 디자인한 콘셉트카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모양의 차체든 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동차 디자인의 자유도가 매우 높아지는
셈
이다. 예를 들어 전기제어 장치로 자동차 방향을 바꾸기 때문에 핸들을 비행기 조종간처럼 디자인할 수 있다. 운전석의 위치도 왼쪽이나 오른쪽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할 수 있어 통행방향과 상관없이 ... ...
비스타 반길 것인가, 외면할 것인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동안 비스타를 이용한 나머지 업계는 18달러의 수익을 낼 것으로 보인다. 서로 윈윈하는
셈
이다. 무조건 거부권 행사할 것인가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에 우리는 냉소를 보낼 수 있다. 새로운 운영체제가 나왔다고 해서 갑자기 온 세상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기업이라면 업계의 검토라던가 시장의 ... ...
생리대 변신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5일씩 약 38년 동안 생리를 한다고 생각하면 일생의 약 $\frac{1}{13}$동안 생리대를 착용하는
셈
이다. 당신의 생리 상식은? (O, X 퀴즈)1. 몇 살에 초경을 하더라도 모두 정상이다.2. 생리량은 일반적으로 30~80ml(평균 60ml) 정도다.3. 생리는 모두 혈액이다.4. 생리로 잃은 혈액은 몸 안에서 즉시 보충된다.5 .. ...
용암으로 탄소나노튜브 싸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합성된 탄소나노튜브가 잘 붙는다. 용암은 탄소나노튜브라는 모가 자라는 모판 인
셈
이다.연구팀은 에트나 화산의 용암을 잘게 부순 다음 수소와 함께 700℃로 가열했다. 여기에 에틸렌 가스를 첨가하자 산화철이 촉매로 작용해 에틸렌 가스가 탄소로 분해됐다. 분해된 탄소는 용암 표면에 붙어 대롱 ... ...
별난 과학, 별난 이름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Uranus)에서 왔다. 우라노스는 하늘의 신이다. 하늘에는 천왕성이, 땅에는 우라늄이 있는
셈
이다. 뒤이어 발견된 넵투늄과 플루토늄도 해왕성(Neptune)과 명왕성(Pluto, 지금은 소행성134340)의 이름을 땄다. 신화에서 넵튠은 바다의 신, 플루토는 지하의 신이니 우라늄과 넵투늄, 플루토늄 삼형제가 모이면 ... ...
삼천리 금수강산 '악'산의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화재에 취약하다”고 말했다. 악산이 불의 산이라는 말은 나름 일리가 있는
셈
이다.오르는데 끈기와 체력이 필요한 악산. 우리 조상들은 이런 바위산을 수양을 쌓고 지혜를 기르는데 최고의 산으로 여겼다. 이것이 악산을 명산으로 부르게 된 까닭이라면 지나칠까 ... ...
접착제 붙는 힘 어디서 나오나?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있다. 두 개의 반대되는 성질이 양쪽으로 나눠져 있으니 극성분자처럼 쌍극자가 있는
셈
이다.막대자석 여러 개를 이어 붙여 큰 구조물을 만든다고 해보자. 같은 극끼리는 밀어내고 다른 극끼리는 끌어당기므로 N극과 S극을 이어 붙여야 한다. 극성분자인 물도 마찬가지다. 쿨롱의 힘에 의해 양전하를 ... ...
암 고치는 달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치료제를 만드는 데 필요한 물질이 들어 있다. 항암제를 만드는‘닭 공장’이 되는
셈
이다.과학자들은 닭의 DNA를 바꿔 항암제 달걀을 낳도록 했다. 항암 물질을 만드는 인간의 유전자를 뽑아내 닭의 DNA에 삽입한 것이다. 이 닭이 낳은 병아리 역시 인간의 유전자를 갖고 있어 계속 항암제 달걀을 ... ...
PART2 거침없이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수 있다. ‘클릭’ 휘발유 차량이 리터당 12.1km를 달린다고 하니 50%가량 연비를 향상시킨
셈
이다. 차가 출발하거나 가속할 때 전기모터로 출력을 높여 연료 소모를 줄였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세계적인 수준에 맞췄다. 현재 ‘클릭’ 하이브리드자동차는 경찰청 업무용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Science in Context)에발표했다. 홍길주라는 19세기 조선수학자가 세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셈
이다. 제곱근*현재 수학교과서에서 a²의 제곱근은 ±a라고 배운다. 하지만 전통수학에서는 실생활 문제 위주여서 음수 제곱근을 생각하지 않았다. 사실 서양에서도 16세기 후반에야 음수 제곱근을 고려했다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